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제8차 서울 ODA 국제회의 환영사(9.2)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4-09-02
조회수
3252


Welcoming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Foreign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8th Seoul ODA International Conference
September 2, 2014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t is indeed a great pleasure for me to welcome all of you to the 8th Seoul ODA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Seoul ODA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first ever hosted by the Republic of Korea to discuss the issue of global poverty, was launched back in 2007. It was a reflection of Korea’s commitment to contribute to promoting the shared growth of both rich and poor members of the global community.

I would like to thank President Kim Young-mok of KOICA and his staff for their hard work to jointly organize this annual event wit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 also wish to thank Minister Kim Sung-Hwan and all the other distinguished experts including those from abroad for participating in this important meeting.

Distinguished Guests,

As you all know, Korea has transformed itself from a poverty-stricken aid recipient to a full-fledged donor country within half a century. In 2009, Korea even joined the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of OECD -- a club of advanced donor countries. A year later, as chair of G20, Korea took an initiative for drawing up the Seoul Development Consensus, thereby placing development at the heart of the G20 agenda. In 2011, as host of the Busan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Korea again played a leading role in shifting the paradigm for global development cooperation from ‘aid effectiveness’ to ‘effective development’ and building a more comprehensive and inclusive partnership.

As the first recipient-turned-donor country in the world, Korea is now recognized by the global community as an actor to be reckoned with in the area of development cooperation. However, with its short history and experience in development cooperation, Korea cannot compete with traditional donor countries by expanding the size of its ODA package alone. It must focus its efforts on ways to differentiate its contribution from that of other donor countries with its quality as opposed to quantity. The most effective way for Korea to be a visible and reliable development partner is to fully utilize its unique development experience. Focusing on a certain area of its specialty where its contribution could outperform the other players could be one way of doing so. And I believe that good governance and effective institutions -- the main theme of this year’s Conference -- are the issues on which Korea can make its valuable contributions.

Ladies and Gentlemen,

To eradicate poverty, intangible infrastructure such as governance and institutions has as much important a role to play as tangible assets such as foreign aid. However, they had not received the limelight until the 1980s when, after going through many trials and errors on the ODA polic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egan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good governance and effective institutions for development.

“Africa is not poor, but just poorly managed.” These are the words of President Ellen Johnson Sirleaf of Liberia, Nobel Peace laureate and Africa’s first female president. What an eloquent testimony to the importance of good governance and effective institutions!

Of course, there is no clear-cut definition of good governance and effective institutions. However, we can benefit from the insight of Aristotle whose primary interest lied in translating the capacity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into their growing happiness. We can also be enlightened by the fact that the Greek word kybernatas, which is the origin of the word governance, means the steersman of a ship. As indicated as such, we may define good governance and effective institutions as a social system that provides the way forward to enhance people’s happiness and the quality of their life.

Korea’s experience may provide a good evidence to show how important a tool good governance and effective institutions are to make development happen on the ground. It was truly thanks to its governance and institutions that Korea was able to rise above the ruins of the war in the 1950s and escape from the absolute poverty only in a generation or so thereafter.

At the initial stage of Korea’s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60s and 1970s, visionary and committed political leaders, passionate and motivated people, and the dedicated and competent technocrats formed a trinity in setting up the governance to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life. The then strong political leadership committed to overcoming national poverty instilled a ‘can-do-spirit’ in the Korean people. And a large pool of technocrats capable of effective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translated the commitment of the leaders and people into a range of effective institutions across the society. And this prevented the waste of the capacity and resources of Korea and its people.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effectively utilized aid to leverage other development resources and the full ownership of development by all citizens played a critical role in making reform happen.

On top of this, across-the-board liberalization and full democratization in the 1980s through 1990s greatly contributed to moving Korea toward the next stage of development, transforming the entire society. Increasing call for a more open and democratic society, deregulation and competitive market changed the role of state. As the private sector outgrew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led development plan became no longer relevant in Korea since its most important goal, that is, to strengthen private firms and help them grow into a dynamic and sustainable engine of the national economy, had already been achieved.

All in all, Korea’s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is the fruit of good governance and effective institutions. Korea’s success story, however, is not always applicable 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There is no ‘one-size-fits-all’ formula or single best practice for all. The political economy varies from one country to another. Reflecting the diversity of each country’s own context is essential to make reform happen. Sustainable development outcomes can only be achieved by owning them through ‘learning by doing’.

I am confident that the Seoul ODA International Conference provides an excellent opportunity to share experiences of different countries and lessons learned on this important subject. I sincerely hope that throughout the discussions at this Conference, we will benefit from your wisdom and insight in seeking best means and practices to build good governance and effective institutions in different contexts and circumstances. I wish you a good luck in your intellectual exercise today.

Thank you. /END/

---------------------------------------------------------------------


제8차 서울 ODA 국제회의 환영사

조태열 외교부 차관

2014.9.2

내외 귀빈, 신사 숙녀 여러분,

제8차 서울 ODA 국제회의에 참석하신 여러분들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서울 ODA 국제회의는 대한민국이 지구촌 빈곤 문제를 주제로 주최한 최초의 국제회의로서 지난 2007년에 출범하였습니다. 이는 잘 살든 못 살든 지구촌의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동반성장하도록 하는데 기여하겠다는 한국의 의지가 반영된 것입니다.

외교부와 공동주최하는 금번 연례 국제회의 준비를 위해 그 동안 노고를 아끼지 않으신 김영목 이사장님과 KOICA 직원 여러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아울러 김성환 전 외교부 장관님을 비롯하여 회의에 참석해주신 국내외 전문가 여러분들께도 사의를 표하고자 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주지하시다시피, 한국은 지난 반세기만에 가난에 시달리던 원조 수혜국에서 성숙한 원조 공여국으로 탈바꿈하였습니다. 2009년에는 선진 공여국들의 모임인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도 가입하였습니다. 일 년 뒤에는 G20 의장국으로서 서울 개발 컨센서스(Seoul Development Consensus)의 도출을 주도하여 개발 이슈를 G20 의제의 한 가운데에 올려놓았습니다. 2011년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를 유치한 한국은 주최국으로서 국제 개발협력의 패러다임을 기존의 ‘원조 효과성’으로부터 ‘효과적인 개발’로 전환하고 보다 광범위하고 포용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는데 또 한 번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세계 최초로 원조 받는 나라에서 원조 주는 나라로 탈바꿈한 나라로서 한국은 이제 국제사회로부터 개발협력 분야의 주요 행위자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개발협력의 역사와 경험이 일천한 한국이 ODA 규모만을 키워감으로써 전통적인 선진 공여국과 경쟁을 할 수는 없습니다. 한국은 자신의 기여가 양적 측면이 아닌 질적인 측면에서 여타 공여국의 그것과 어떻게 차별화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한국이 개발협력 파트너로서 신뢰를 얻고 또 존재감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한국만의 독특한 개발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입니다. 다른 국가들보다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특정분야에 집중하는 것이 그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금번 회의의 주제인 ‘선정과 효과적인 제도’(Good Governance and Effective Institutions)는 그러한 측면에서 한국이 값진 기여를 할 수 있는 이슈라고 생각합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빈곤 퇴치를 위해서는, 가버넌스나 제도와 같은 무형의 인프라가 실물 원조와 같은 유형의 자산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가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국제사회가 ODA 정책의 무수한 시행착오를 거친 후 개발을 위해 선정과 효과적 제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비로소 인식하기 시작한 1980년대에 이르러서입니다.

"아프리카는 가난하지 않다(not poor). 다만 엉성하게(poorly) 관리되어 왔을 뿐이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이자 아프리카 최초의 여성 대통령인 엘렌 존슨-셜리프 라이베리아 대통령이 한 말입니다. 선정과 효과적 제도의 중요성을 얼마나 웅변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말입니까?

물론 선정과 효과적 제도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사회 구성원들이 가진 능력을 행복의 증진으로 연결시키는데 최우선적인 관심을 두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탁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아울러 가버넌스의 어원인 그리스어 ‘kybernatas’가 배의 키잡이를 의미하였다는 사실에서도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말들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선정과 효과적인 제도란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향성을 제시하는 사회적 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의 경험은 개발목표를 달성함에 있어 선정과 효과적 제도가 얼마나 중요한 수단인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증거입니다. 한국이 1950년대 전쟁의 폐허를 딛고 일어나 불과 한 세대 만에 절대 빈곤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었던 것은 진정 한국의 가버넌스와 제도 덕택이었습니다.

한국 경제가 초기 도약을 시작한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예지력과 확고한 의지를 가진 정치 지도자들과 열정적이고 동기로 충만한 국민, 그리고 헌신적이고 능력 있는 전문 관료집단이 삼위일체가 되어 국민들의 삶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가버넌스를 구축하였습니다. 국가적인 빈곤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로 충만했던 당시 정치 지도자의 강력한 리더십은 한국민에게 ‘하면 된다’는 정신을 심어주었습니다. 또한 국가 발전 전략을 효과적으로 기획․집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대규모 전문 관료집단은 정치 지도자와 국민들의 의지를 모아 사회 전반에 걸쳐 효과적인 제도를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과 한국인이 가진 역량과 재원이 헛되이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정부는 원조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여타 개발 재원들을 견인하였고, 개발 문제에 관한 국민 개개인의 완벽한 주인의식은 혁신을 실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광범하게 이루어진 자유화와 민주화는 사회 전반의 변환을 가져오면서, 한국의 개발을 다음 단계로 진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개방되고 민주화된 사회와 규제완화 및 시장의 경쟁여건 강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면서 국가의 역할은 바뀌었습니다. 민간 부문의 성장이 정부 부문을 뛰어 넘게 되자, 정부주도형 개발정책은 그 적실성을 잃게 되었습니다.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국가경제의 역동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궁극적인 목표가 이미 달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해보면, 한국의 경제성장과 번영은 곧 선정과 효과적 제도가 가져다 준 과실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의 성공 스토리가 다른 개도국에게도 항상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모든 이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이나 최상의 관행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나라마다 정치경제적 여건은 상이하며, 그러한 다양한 맥락을 존중하는 것이야 말로 혁신을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지속가능한 개발 성과는 '행동에 의한 학습‘(learning by doing)을 통해 체화할 때만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서울 ODA 국제회의가 이처럼 중요한 주제에 대해 다양한 국가들의 경험과 교훈을 공유하는 더없이 좋은 기회를 제공하리라 믿습니다. 금번 회의에서의 토론을 통해 개도국들이 처한 다양한 맥락과 여건 속에서 선정과 효과적 제도를 구축하기 위한 최선의 수단과 관행은 어떤 것인지, 여러분들의 지혜와 통찰력이 모아지기를 기대합니다. 오늘 여러분들의 지적 토론이 성공을 거두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