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유엔 기후정상회의 전망과 대응방향 모색을 위한 서울 기후-에너지 컨퍼런스 개막연설(9.3)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4-09-03
조회수
3253

 
Opening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at the Seoul Climate-Energy Conference 2014



September 3, 2014
Grand Ballroom, Plaza Hotel


Dr. Kang Sung-Mo, President of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r. Lee Seung-Hoon, Co-Chairman of the Green Growth Committee,
Mme. Hela Cheikhrouhou, Executive Director of the Green Climate Fund,
Mr. Yvo de Boer, Director-General of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t is a great pleasure for me to address the Seoul Climate-Energy Conference 2014 jointly organized by the KAIST Graduate School of Green Growth, Green Technology Center, and Coalition for Our Common Future. I would like to thank the three co-hosts for their joint initiative in convening this important meeting at this critical juncture.

As you all know, at the invitation of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the UN Climate Summit will take place in New York on the 23rd of September, taking advantage of the UN General Assembly meeting. More than 150 heads of state as well as world's renowned leaders have already confirmed their presence at the Summit, a historic event to reinforce their political commitment to agree on the New Climate Regime by 2015, the deadline for the ongoing negotiations.

I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ails once again to reach an agreement by the deadline, our collective efforts to limit the increase of average global temperature to below 2 degrees Celsius compared with the level of pre-Industrial Revolution will surely fall through. The Summit represents the last chance to galvanize the leaders’ political will ahead of the negotiations deadline. As such, the forthcoming Summit holds indeed a great deal of importance. Fully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the Summit, the Korean Government is now contemplating over how to contribute to the Summit. Let me briefly share with you some of my thoughts on where we should go from here and what Korea will do at the Climate Summit.

Significance of the UN Climate Summit

Distinguished Guests,

We all vividly remember our deep frustration when COP 15 ended with no agreement back in 2009. More than one hundred world leaders came together in Copenhagen with high expectation to establish the post-2012 Climate Regime, only to find the divide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oo deep and wide. As a result, apart from the voluntary actions for mitigation, only fourteen percent of total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now regulated under the Kyoto Protocol.

Five years have elapsed since Copenhagen and we once again find ourselves standing at a crossroad. If we fail this time again, the magnitude of its consequences will be very different from that of year 2009. The very existence and credibility of the global climate regime are now at stake.

No doubt, climate change is an urgent issue that must be addressed today not tomorrow. Should we fail to act now, the focus will quickly shift from ‘how to stop’ to ‘how to adapt to the irreversible climate change’. The latest scientific data clearly indicate that the earth is fast approaching a tipping point beyond which humankind will not be able to prevent the disaster of climate change. The upcoming Summit will be a turning point that defines the future of humanity.

Where to Go from Here ?

Distinguished Guests,

Secretary–General Ban Ki-moon has repeatedly called upon the world leaders to come forward with clear visions and bold actions to reduce emissions and demonstrate political will for the successful conclusion of the 2015 agreement. As he emphasized time and again, this Summit should not be part of a negotiating process in which participants pursue their national interests only.

In fact, negotiations on climate change have been trapped in a vicious cycle of mutual distrust. Some parties are blaming the others for not exerting as much efforts as they are, while some others are arguing that responsible countries are continuously avoiding their responsibilities. A series of failures including the Copenhagen Conference resulted from the failure of removing mutual distrust and narrowing the gap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e therefore hope that the upcoming Summit will be an opportunity to break this vicious cycle and lay the foundation of mutual trust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s.

What will Korea Do at the Climate Summit?

Distinguished Guest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looking at Korea, the first recipient-turned-donor country in the world, with high expectation on its role over all kinds of global issues. Climate change is no exception. We have been and will continue to be committed to live up to this expectation. However, the current external and internal circumstances, created mainly by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pose a big challenge for Korea to carry on with its commitment. Recently, we have been witnessing heated debate at home on the Emission Trading Scheme, and growing concerns have been raised by the industry over our weakening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Some still fear that we will only face greater financial burden and lo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hould we invest prematurely in combating climate change. However, we are still convinced that climate change presents not only challenges but also opportunities to create new jobs, new markets, and bring new added value. We also believe that climate-related challenges can be overcome in a more effective and eco-friendly way with technological breakthrough.

With all thes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mind, we will continue to seek ways to deliver on our promise in relation to the pre-2020 ambition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e are also seeking ways to play a bridging role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n the climate change negotiation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conclusion of the 2015 Agreement.

On top of this, we will try to find our unique role to play in coping with climate change. We will make utmost efforts to achieve the Creative Economy which aims to create a virtuous cycle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through a paradigm shift. Korea’s success in these efforts will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efforts towards a low- carbon, climate-resilient economy. In this regard,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GGGI) and the Global Climate Fund (GCF), both hosted by Korea, will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erms of sharing experiences and lessons learned therefrom.

Distinguished Guests,

Climate change is the common task of our times. It is a huge challenge that can only be addressed through concerted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must work together to make the UN Climate Summit a success. Our discussions at this conference today will hopefully provide the way forward toward this end.

I would like to conclude my remarks by quoting Secretary General Ban’s recent remarks: “Change is in the air. Solutions exist. The race is on, and it’s time to lead”

Thank you very much. /END/

-------------------------------------------------------------------------------


유엔 기후정상회의 전망과 대응방향 모색을 위한 서울 기후-에너지 컨퍼런스 개막연설
- 조태열 외교부 차관-

2014.9.3

강성모 카이스트 총장님,
이승훈 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장님,
원희룡 제주도 지사님,
헬라 쉬흐로흐(Héla Cheikhrouhou) 녹색기후기금 사무총장님,
이보 드 보어(Yvo de Boer)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사무총장님,
내외 귀빈, 신사 숙녀 여러분,

카이스트 녹색성장 대학원, 녹색기술센터 및 사단법인 우리들의 미래가 공동 주최하는 서울 기후-에너지 2014 회의에서 축하의 말씀을 드리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중차대한 시기에 중요한 회의를 마련해주신 주최측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주지하시다시피, 유엔 기후 정상회의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초청으로 유엔총회 기간을 이용하여 9월 23일 뉴욕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150명 이상의 각국 정상과 세계의 저명한 지도자들이 이미 이번 정상회의 참석 의사를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회의는 현재 진행 중인 협상의 마감시한인 2015년까지 신기후체제에 합의하기 위해 각국 지도자들의 정치적 의지를 결집하는 역사적인 자리가 될 것입니다.

만약 국제사회가 시한내 합의 달성에 또 한번 실패할 경우, 산업혁명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를 2℃ 이하로 억제하려는 우리 모두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갈 것입니다. 금번 정상회의는 협상 시한을 앞두고 각국 지도자들의 정치적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금번 정상회의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는 대한민국 정부로서는 금번 회의에서 기여할 수 있는 방안들을 다각도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가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고, 우리나라가 기후 정상회의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해 저의 소견을 간략히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유엔 기후정상회의의 중요성

내외 귀빈 여러분,

우리 모두는 지난 2009년 제 15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15)가 아무런 합의 없이 종료되었을 때의 깊은 좌절감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100여명 이상의 정상들이 2012년 이후의 새로운 기후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높은 기대감을 갖고 코펜하겐에 모였으나,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격차가 너무나 깊고 넓다는 점만 확인하고 끝나버렸습니다. 그 결과 온실가스 경감을 위한 각국의 자발적인 조치를 제외하고는 겨우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14%만이 교토의정서하에서 규제되고 있을 뿐입니다.

코펜하겐 당사국총회 이후 5년이 흐른 지금 우리는 다시금 기로에 서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도 실패한다면, 그 파장은 2009년과는 판이하게 다를 것입니다. 글로벌 기후체제의 존재 그 자체와 신뢰성이 위협을 받게 됩니다.

의심할 여지없이, 기후변화는 내일이 아닌 오늘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입니다. 우리가 지금 행동으로 옮기지 못한다면 향후 초점은 ‘어떻게 기후변화를 막을 것인가’에서 ‘돌이킬 수 없는 기후변화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로 빠르게 옮겨지게 될 것입니다. 최신 과학 정보들은 인류가 기후변화의 재앙을 더 이상 막을 수 없는 임계점으로 지구가 빠르게 다가가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기후정상회의는 인류의 미래를 규정짓는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여기서 어디로 가야 할 것인가?

내외 귀빈 여러분,

반기문 사무총장은 세계 지도자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분명한 목표와 과감한 행동을 제시하고 2015년 신기후협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정치적 의지를 보여줄 것을 줄기차게 요청해 왔습니다. 반 총장께서 여러 차례 강조하신 바와 같이 금번 기후정상회의는 참석자들이 자국의 국익만을 추구하는 협상 과정의 일부가 되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기실, 기후변화 협상은 그동안 상호 불신이라는 악순환의 덫에 빠져 있었습니다. 어떤 나라들은 상대방이 자기들만큼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고 비난하는 반면, 다른 나라들은 책임있는 국가들이 계속해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코펜하겐 당사국총회를 포함한 일련의 실패 사례들은 상호불신을 제거하고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격차를 좁히는데 실패한 결과였습니다. 따라서 이번 정상회의는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협상 과정에서 상호 신뢰의 기초를 다질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기후정상회의에서 대한민국은 무엇을 할 것인가?

내외 귀빈 여러분,

국제사회는 세계에서 최초로 원조 받는 나라에서 원조 주는 나라로 탈바꿈한 대한민국이 지구촌의 제반 문제들에 대해 어떤 역할을 해나갈지 큰 기대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도 예외는 아닙니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도 그러했지만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러한 국제사회의 기대에 부응해 나갈 것입니다. 그러나, 세계 경제 침체로 인한 현재의 국내외적인 상황은 우리가 이런 의지를 지속해 나가는데 큰 도전을 던져주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 배출권 거래제에 대한 뜨거운 논쟁이 있었고, 세계시장에서 우리의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산업계로부터 제기되었습니다. 국내 일각에서는 여전히 우리가 기후변화 대응에 섣불리 투자할 경우 더 큰 재정부담을 지게 되고 국제경쟁력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기후변화가 도전뿐만 아니라 새로운 일자리, 시장 및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회를 함께 제공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혁신을 통해 기후와 관련된 문제들을 보다 효율적이고 생태 친화적인 방식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런 모든 도전과 기회들을 염두에 두고, 우리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2020년 이전 목표와 관련된 약속을 이행하기 위한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갈 것입니다. 2015년 합의를 성공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도록 기후변화 협상에서 선진국과 개도국간 교량역할도 모색하고자 합니다.

이와 더불어,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역할을 찾아 나갈 것입니다. 우리는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꿈으로써 경제발전과 환경 보존 사이에 선순환을 도모하는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이러한 노력이 성공을 거둔다면 저탄소, 기후탄력적 경제를 이루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에 본부를 둔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와 녹색기후기금(GCF)도 경험과 그로부터 얻은 교훈을 공유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기후변화는 우리 시대의 공동 과제입니다. 국제사회의 단합된 노력을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는 커다란 도전입니다. 우리는 유엔 기후정상회의의 성공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오늘 회의에서의 토론이 이러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데 방향을 제시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끝으로 반기문 사무총장의 최근 연설 문구를 인용하면서 제 말씀을 마무리 하고자 합니다. “변화의 기운이 감돌고 있다. 해결책은 존재한다. 경주는 시작되었고, 이제는 앞서 나아가야 할 때이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