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서울 Post-2015 회의 환영사(10.7)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3-10-07
조회수
2382


Welcoming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Foreign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Seoul Post-2015 Conference
Implementation and Implications 


                                                                                              October 7, 2013 
                                                                                                            Seoul

Mme. Rebeca Grynspan,
Minister Kim Sung-Hwan,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t is my great pleasure to welcome all of you to the Seoul Post-2015 Conference jointly organized by UNDP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only 800 days remaining until the target date for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the Seoul Conference is aimed at discussing an effective implementation mechanism for a new development paradigm post-2015. It is indeed a timely and meaningful initiative. Let me express my special appreciation to Mme. Grynspan, Associate Administrator of UNDP, and my former boss Minister Kim, for joining us in this important event. I would also like to thank the staff of UNDP, especially the Seoul Policy Centre, for their excellent preparation for this conference.

UNDP and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UNDP is special indeed. The history of the UNDP Country Office in Korea is in fact the history of Korea’s economic development per se. Since it started operations in Korea 50 years ago, UNDP has remained a strong supporter for Korea’s efforts to eradicate poverty and modernize its economy. Delivering around 270 programs, UNDP has trained personnel in the areas of industry, agri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It has also contributed to modernizing the Port of Busan, which has now grown to become the 5th busiest container port in the world.

Today, Korea is a full-fledged donor country and ranks 12th on the Human Development Index. In 2009, UNDP finally closed its Country Office when Korea joined the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of the OECD. The Country Office in Korea is in fact the only UNDP office that completed its mandate of supporting the development efforts of a recipient country.

As UNDP once lent a helping hand to Korea in the time of need, Korea is now reaching out to the world working together with UNDP to eradicate poverty across the globe. And today’s conference is the fruit of the 50-year long friendship and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UNDP.

MDGs and Post-2015

Distinguished Guests,

Eradicating global poverty is humanity’s common mission in the 21st century; it is the spirit of the era. The history of mankind, which was tainted with tensions and conflicts among religions, races and ideologies, ushered in a new era with the launching of the MDGs in the year 2000. This accomplishment illustrat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genuine commitment to come together and advance a common prosperity. It was only possible because of the shift in our thinking that poverty was not a problem for individual countries alone, but a problem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During the past 13 year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specially the United Nations, has been striving to attain the MDGs – more specifically the 8 goals and the 18 accompanying targets. As a result, despite the global economic crisis, substantial progress has been made, especially in the areas of eradicating extreme poverty, wiping out malaria and tuberculosis, and improving sources of water. And such achievements attest to the fact that the quest to reach the MDGs was not merely a campaign wrapped in abstract rhetoric.

Nevertheless,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We now face new challenges that were not anticipated in our path towards the MDGs – the deepening income inequality, increase in the number of marginalized people, climate change that is threatening ou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the declining development finance on account of the economic downturn.

Recentl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trying to define the post-2015 development paradigm that will tackle these new challenges by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successes, but also the trials and errors made in our pursuit of the MDGs. And in the report of the UN Secretary-General o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released last August, a number of key elements were proposed, among others, ‘universality to all countries leaving no one behind’, sustainable development, economic transformation, peace and governance, and a new global partnership. This vision, that is more people-centered than ever before, is a promise to future generation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focus on a more universal mechanism for implementation.

Implementation of Post-2015 Global Partnership

Distinguished Guests,

British playwright John Fletcher once said, “Deeds, not words, shall speak me.” Likewise, without an effective implementation mechanism,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will ring hollow. The decision by UNDP to add ‘the post-2015 implementation mechanism’ as the 12th theme of the thematic consultations is a manifestation of the commitmen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nsure that the next set of development goals will be met. As you know, UNDP has been collecting inputs and views from around the world in the framework of the thematic consultations and identified 11 themes for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pooling the scattered capacity and resources is essential. Accordingly, we need to build a new global partnership embracing various development actors. The global partnership should also be forged in and among the areas that are directly linked to the economic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energy, trade,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velopment finance. We should also share best practices globally, while setting up a system that promotes building partnerships in strategically important areas.

Today’s development landscape differs greatly from the time the MDGs were launched. For instance, South-South cooperation is expanding, while the civil society and the private sector are emerging as new development actors. Going forward, partnership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as among civil society, businesses and local governments will become the key drivers in implementing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We have already witnessed the importance of global partnerships while implementing the MDGs. Initiatives such as ‘Every Woman Every Child Initiative’, ‘Sustainable Energy for All’, and ‘Education First Initiative’ are cases in point of how a global partnership paved the way for real progress in the areas of women, children, energy and education.

We hope that the stand-alone partnerships that have developed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MDGs will expand in a more systematic manner in the post-2015 era. In this regard, I believ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make use of international institutional assets such as the Busan Global Partnership that was launched in 2012.

Korea’s Contribution to Post-2015

Distinguished Guests,

When President Kennedy dubbed the 1960s as the ‘Development Decade’, Korea was still struggling to recover from the ruins of war and the pains of poverty. Fortunately, under a strong political leadership and a ‘can do spirit’ that prevailed among its people, Korea was able to achieve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nd in 2009, Korea became the 24th member of the OECD DAC, the club of donor countries, which was founded 49 years ago.

Korea is clearly a latecomer when it comes to development cooperation as a donor country. But rest assured that the commit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eople to eradicate global poverty is strong and genuine. In fact, KOICA, the development arm of the Korean Government, which was established in 1991, has thus far sent nearly 10,000 Korean volunteers abroad, and Korea has now become only second to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the number of volunteers sent abroad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2010, as chair of G20, Korea successfully took an initiative for drawing up the Seoul Development Consensus, thereby placing development in the center of the G20 agenda. In 2011, as host of the Busan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Korea played a leading role in shifting the global development cooperation paradigm from ‘aid effectiveness’ to ‘effective development’ and building a more comprehensive and inclusive partnership for development cooperation.

The motivation that is driving Korea to step up its efforts in the area of poverty eradication lies in our strong resolve to pay back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at we have received. We are committed to share the know-how and experiences that we have accumulated while overcoming poverty in a span of a generation.

Korea’s development assistance cannot compare with that of other donor countries in terms of history and scale. However, as part of the global value chain, Korea will continue to make efforts to add value to the development cooperation landscape based on its unique development experiences. Systematic industrialization policies, successful rural development characterized by Saemaeul Undong or New Village Movement, a passion for education, and a strong leadership to coordinate development policies are some of the assets we hope to share with other developing countries. We intend to differentiate our development cooperation from those of traditional donor countries with a focus on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using our unique experience as valuable asset. Simply put, we will pursue an ‘ODA that produces results’, an ‘ODA that can be appreciated by the global citizens’. To this end, we hope to further enhance our cooperation with UNDP.

The Park Geun-hye Government, which took office early this year, is focusing on building trust. Trust means making promises that can be delivered, and keeping promises that have been made. President Park Geun-hye declared her firm commitment to contribute to building a happy global village by placing Trustpolitik at the core of Korea’s foreign policy. This vision is in line with that of the post-2015 development paradigm, which is to open an era where all global citizens can realize their rights and live with hope and dignity.

Korea is well aware of the pains and agonies of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simple reason that we have been there as well. Korea, therefore, is well placed to seek solutions to problems that many developing countries face. We will actively support developing countries to eliminate the bottlenecks needed to escape from poverty and stand alone without assistance. We will put ourselves in their shoes and support their efforts to enhance the capacity to resolve problems on their own. Tailored development assistance full of humility and empathy is a development cooperation model that Korea is pursuing.

Conclusion

Ladies and Gentlemen,

At the UN General Assembly on September 24,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said that, ‘Ours is the first generation that can wipe poverty from the face of the earth’. I believe this bears witness to his confidence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the capacity to eradicate poverty.

It is my hope that all development partners will come together and combine their efforts and resources to forge a global partnership for the post-2015 development paradigm. This will help move up the date for eradicating poverty and bringing about greater prosperity across the globe. The comments and proposals to be made during this conference will serve as precious intellectual assets in our move towards this shared goal. I can assure you that Korea will actively take part in the global efforts to design an effective implementation mechanism for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and carry them out sincerely and enthusiastically.

Thank you very much. 


-----------------------------------------------------------------------------(국문 번역본)


Rebeca Grynspan UNDP 부총재님,
김성환 장관님,
참석하신 발표자, 토론자 여러분,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외교부와 UNDP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서울 Post-2015 회의(The Seoul Post-2015 Conference)에 참석하신 모든 분들께 환영의 말씀을 드립니다. MDGs 달성시한을 불과 800여 일을 앞둔 시점에서, 2015년 이후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을 논의하는 오늘 이 회의는 매우 뜻깊고 시의적절한 계기라고 생각합니다. 이 자리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해주신 그린스펀 UNDP 부총재님, 김성환 전 장관님께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그리고 회의 준비를 위해 심혈을 기울여준 UNDP 관계자 및 서울사무소 직원 분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UNDP와 한국

UNDP와 한국의 인연은 각별합니다. UNDP 한국사무소(Country Office)의 역사는 곧 한국의 개발과 성장의 역사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0년 전 한국에서의 첫 사업을 시작한 UNDP는 한국의 빈곤퇴치와 현대화 과정에서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해왔습니다. UNDP는 그간 270여개 사업을 통해 한국의 산업, 농업, 과학 기술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특히 부산항을 현대화함으로써 오늘날 세계 5위의 물류항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했습니다.

오늘날 한국은 공여국이자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12위 국가가 되었습니다. 지난 2009년 한국의 OECD DAC 가입을 계기로 UNDP 한국사무소는 철수하였습니다. UNDP 한국사무소는 UNDP 지역사무소 가운데 개도국 개발지원 임무를 완수한 유일한 지역사무소입니다.

과거 UNDP가 한국에게 손을 내밀었듯이, 이제는 한국과 UNDP가 함께 지구촌 빈곤퇴치를 위해 인류애의 손짓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 한국정부와 UNDP가 공동 개최하는 Post-2015 회의 역시 반세기간 다져진 우정과 유대감의 결실이라고 하겠습니다.

MDGs와 Post-2015

내외 귀빈 여러분,

지구촌 빈곤 퇴치는 21세기 인류가 함께 추구해야할 공동의 사명이자 21세기의 시대정신입니다. 종교와 민족, 이념의 갈등으로 얼룩졌던 인류사는 지난 2000년 MDGs의 출범으로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국제공동체의 진정한 의지를 증명하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또한 빈곤 문제가 특정 국가의 정책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지구 전체적 문제라는 인식의 전환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지난 13년간 UN과 국제사회는 MDGs 8가지 목표(goal)와 18개 세부목표(target)을 이루기 위해 매진해왔습니다. 비록 글로벌 경제위기라는 시련을 겪긴 했지만, 절대빈곤인구(extreme poverty) 감소, 말라리아 및 결핵 퇴치, 식수보급 등 분야에서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MDGs가 추상적 레토릭으로 포장된 캠페인이 아님은 이미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가야할 길은 많이 남아 있습니다. MDGs를 이루는 과정에서 소득 불평등과 소외계층의 확대, 생태와 환경을 위협하는 기후변화, 금융위기로 위축된 개발 재원(development finance) 등 예측하지 못한 문제들이 새로운 도전으로 부상했기 때문입니다.

국제사회는 그간 MDGs 이행 과정에서의 성과뿐만 아니라 시행착오를 경험삼아 이러한 도전에 대응코자 Post-2015 개발 패러다임을 고안해 왔습니다. 지난 8월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제출한 Post-2015 보고서는 그러한 고민의 결실로서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을 것’(Leave No One Behind),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고용과 포용적 성장을 위한 경제 변환(Economic Transformation), 평화와 효과적 공공제도 정착(Peace and Governance), 새로운 글로벌 파트너십(A New Global Partnership)과 같은 5대 요소를 제시하였습니다. 보다 인간적인 비전(people-centered)이며, 보다 보편적인 실행 체제를 염두에 둔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인 것입니다.

Post-2015 이행, 글로벌 파트너십

내외 귀빈 여러분,

영국의 극작가 John Fletcher가 ‘말이 아니라 행동이 나를 대변할 것이다’ (Deeds, not words shall speak me)라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Post-2015 역시 효과적인 이행수단이 확보되지 않으면 그 의미는 공허해질 것입니다. 그간 Post-2015의 11개 주제에 대한 국제적 여론을 수렴해온 UNDP가 열두 번째 주제로 ‘Post-2015 이행수단’을 선정한 것은 약속한 것을 지키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시다시피 UNDP는 그간 Global Thematic Consultation을 통해 post-2015 어젠다를 위한 11개 개발 관련 주제를 선정하여 국제사회 저변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해왔습니다.

Post-2015 개발의제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흩어진 역량과 재원을 유기적으로 엮을 필요가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개발주체(development actor) 간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합니다. 글로벌 파트너십은 개별 국가 차원은 물론이고, 에너지, 무역, 과학기술, 개발재원 등 개도국의 성장과 직결되는 분야에서도 구현되어야 할 것입니다. 나아가 글로벌 차원에서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공유하는 한편, 전략적으로 중요한 분야에서 파트너십 형성을 촉진하는 지원체제도 제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최근 남남협력(south-south cooperation) 확대, 개발 이슈에서의 시민사회(civil socieity)와 민간부문(private sector)의 부상 등 국제 개발 환경(development landscape)은 MDGs가 출범했던 2000년과 현저하게 달라졌습니다. 이를 고려하여,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파트너십, 시민사회, 기업, 지방정부 등 다양한 개발주체 간의 강력한 파트너십이 형성되면 Post-2015의 이행에 동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미 MDGs 이행과정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경험하였습니다. ‘Every Woman Every Child Initiative', 'Sustainable Energy for All', 'Education First Initiative' 등은 여성, 아동, 에너지, 교육 등의 분야에서 글 로벌 파트너십이 발휘된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Post-2015 시대에는 MDGs 이행과정에서 분산되어 발전해온 다양한 파트너십들이 보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확산되어 나가기를 희망합니다. 이를 위해 지난 2012년 출범한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Busan Global Partnership)과 같은 국제사회의 제도적 자산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한국의 Post-2015 기여

내외 귀빈 여러분,

케네디 대통령이 1960년대를 ‘개발의 10년’(Development Decade)이라고 명명하던 때, 한국은 전쟁의 폐허와 가난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몸부림치고 있었습니다. 다행히 강력한 정치적 리더십과 ‘하면 된다’는 국민의식(Can Do Spirit)을 자산으로 우리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루었고, 2009년에는 선진 공여국 클럽인 OECD DAC(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에도 가입하였습니다. DAC이 설립된 지 49년 만에 24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한국은 분명 개발협력에 관한 한 후발주자입니다. 그러나 국제 빈곤퇴치를 위한 한국 정부와 국민의 열의는 뜨겁고 진지합니다. 지난 1991년 창립된 KOICA는 그간 약 만 명의 봉사단원을 해외에 파견하였으며, 오늘날 한국은 봉사단 파견규모 면에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국가로 성장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한국정부는 2010년 G20 의장국으로서 서울개발컨센서스(Seoul Development Consensus)를 도출해 내어 개발을 G20 중심의제로 끌어 올렸고, 2011년에는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Busan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를 주최하여 국제개발 협력의 패러다임을 원조효과성(Aid Effectiveness)에서 개발효과성(Development Effectiveness)으로 전환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처럼 개발협력 후발주자인 한국이 국제빈곤퇴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은 국제사회로부터 받은 것을 되갚겠다는 마음, 반세기 만에 가난을 극복해낸 노하우, 그리고 그 경험을 함께 나누겠다는 인류애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비록 개발협력의 역사와 규모 면에서 여타 선발 공여국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속의 일원으로서 한국은 한국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개발경험을 토대로 국제개발협력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체계적인 산업정책과 새마을운동(Saemaeul Undong)으로 대표되는 농촌개발(rural development), 교육열 확산, 그리고 이를 조율하는 리더십 등 한국만의 자산을 활용하여 양보다는 질로 차별화되는 개발협력 정책을 추진하고, ‘성과 내는 ODA, 세계인으로부터 평가받는 ODA'를 추구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UNDP와의 협력도 한층 강화할 것입니다.

금년 초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신뢰에 최상의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신뢰는 지킬 것을 약속하고 약속한 것을 지키는 것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신뢰외교(Trustpolitik)를 외교정책의 기조로 삼고 행복한 지구촌 건설에 기여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표명하셨습니다. 이러한 비전은 모든 이들이 자신의 권리를 실현하고 존엄성과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곧 Post-2015의 비전과 궤를 같이 하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개도국의 아픔과 고민을 경험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그 해결방안을 찾는데 있어서는 선진국보다 더 나은 파트너가 될 수 있습니다. 그들이 빈곤에서 탈출하여 홀로 서는데 장애요소가 무엇인지, 그들의 입장에서 함께 고민하며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열심히 도울 것입니다. 겸손과 따뜻한 사랑이 담긴 맞춤형 원조, 그것이 바로 대한민국이 지향하는 개발협력 모델입니다.

맺음말

내외 귀빈 여러분,

지난 9월 24일 UN 총회에서 반기문 사무총장께서는 ‘우리는 지구상에서 빈곤을 제거할 수 있는 첫 세대’(Ours is the first generation that can wipe poverty from the face of the earth.)라고 하셨습니다. 이는 국제사회의 빈곤 퇴치 능력에 대한 반 총장님의 확신을 의미하는 것이라 믿습니다.

모든 개발협력 파트너들의 능력이 Post-2015 개발 패러다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결집되어 지구촌 빈곤퇴치와 공동번영이 앞당겨지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오늘 최의를 통해 제시된 제안과 의견들은 국제사회 공동의 목표를 추구함에 있어서 소중한 지적 자산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한국 정부는 post-2015 개발 어젠다의 효과적 이행수단을 마련하고 또 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한 국제 공동의 노력에 열정과 성의를 갖고 적극 동참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