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유라시아 정책포럼 기조연설(9.12)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3-09-12
조회수
2712


Keynote Speech by H.E. Cho Tae-yul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t the Eurasian Policy Forum
jointly organized by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Maekyung Media Group 

                            
                                                                                      September 12, 2013 

                                                                           Millennium Seoul Hilton Hotel

 
President Park Chul, Chairman Chang Dae Hwan, Chairman Ahn Hong Joon, Excellencies,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 am greatly honored to speak on the Eurasian policy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before such a distinguished audience as is present here today. I would like to thank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Maekyung Media Group for jointly organizing this timely and meaningful conference.

(Eurasian Policy of Park Geun-hye Government)

“I dream of a railway running from Busan to Europe via Russia.” This is what President Park Geun-hye said at the summit meeting with President Putin in St. Petersburg last week. At first, it may sound like President Park was expressing her strong desire to connect the Trans-Siberian Railway (TSR) and the Trans-Korean Railway (TKR). But I believe that with these words, she was trying to capture her larger vision of Korea’s policy towards Eurasia.

President Park’s Eurasian policy is a grand plan to connect the two economies in the North and the South with the Korean Peninsula in between by integrating and expanding Eurasia’s intricate web of energy,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It could be attained by strengthened cooperation with Russia, trilateral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and Russia, and closer relations with other countries in Eurasia strategically located in the region. The two summit meetings President Park held in St. Petersburg, one with President Putin and another with President Nazarbayev, on the occasion of the G20 summit were basically aimed at advancing bilateral relations with Russia and Kazakhstan respectively, but in fact were a manifestation of her commitment to jumpstart the policy on Eurasian cooperation.

I would like to share with you today some of my thoughts on how important Korea’s relations with Russia and other Eurasian countries are in a broader context of President Park’s policy on Eurasian cooperation and what the Korean government is going to do to translate this Eurasian vision into reality.

(Korea-Russia Partnership in Eurasian Context)

A century ago, Korea and Russia clearly recognized each other as important partners. It was with this trust that in 1896 when the fate of Joseon dynasty was hanging by a thread, King Gojong dispatched special envoy Min Yeong-hwan to Czar Nicholas II to solicit Russian assistance. However, the political development in Northeast Asia in the aftermath of the Russo-Japanese War leading up to the Korean War, which was then followed by the Cold War, prevented the two countries from reigniting their friendship.

Nearly a century had passed before the two countries were able to reestablish formal ties in 1991. Since then, the Korea-Russia relations have grown by leaps and bounds; bilateral trade increased 110 times, while people-to-people exchange reached 130,000 per year. However, it appears that two decades was not enough for the two countries to fully dismantle the wall of separation and become genuine partners. A divided Korea – a lasting legacy of the Cold War – might have been an obstacle in advancing the Korea-Russia relations to a higher level. Although the two countries agreed to upgrade the bilateral relations to a strategic partnership in 2008, a frank assessment would be that a strategic partnership yet remains a rhetoric and more work needs to be done to live up to this promised partnership.

However, since new governments were inaugurated in both countries, a new momentum has been created to move our bilateral relationship forward. Last year, the Putin Government, as part of its ‘Look East Policy’, announced its ambitious development plan for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The Park Geun-hye Government, for its part, introduced a policy on Eurasian cooperation as one of its major policy agenda. Only when these visions and policies of the two leaders are translated into concrete cooperation projects, will the bilateral relations evolve into a genuine strategic partnership.

The bilateral summit of September 7th between the two leaders was quite successful in this regard. President Park made it clear that she is firmly committed to upgrading the bilateral relations to a new height based on the Trustpolitik, emphasizing the need to make promises that can be kept and keep promises that have been made. President Putin wholeheartedly agreed with President Park. As such, the two leaders had very frank discussions and built personal trust. They agreed to meet again later this year to hold in-depth discussions on the vision of the Korea-Russia partnership for the next two decades and beyond. Indeed, the forthcoming summit will be a turning point in moving the partnership forward.

In order to overcome the sense of frustration and misunderstanding that have been deepened over the years due to a lack of meaningful progress in cooperative projects, priority should be placed on enhancing the level of trust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initial stage, efforts should be made to accumulate experiences in cooperation by implementing pilot projects. The Najin-Hasan project and the Russian Far East development projects are cases in point. If trust is enhanced through such projects and progress is also made in inter-Korean relations, we will be able to pursue large-scale projects in the area of infrastructure such as railway, gas and electrical power networks.

In fact,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Russia economic cooperation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rms largely depends on the progress in the inter-Korean relations. Therefore, Russia’s role in inducing change in North Korea is essential in promot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particular, the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Russia and the two Koreas, the project of our primary concern, could not make any meaningful progress if North Korea continues to be subject to international sanctions due to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No doubt, Russia is a key partner for Korea in pursuing President Park’s Trust-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Trust-Building Process, which is aimed at inducing North Korea to make right choices, is a policy to make peace by employing strong pressure and persuasion, while safeguarding peace based on robust deterrence. It is an alignment policy that trie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dialogue and deterrence and between inter-Korean relations and joint initiatives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also an evolving policy as it pursues a step-by-step, gradual implementation. Therefore, the outcome can vary depending on North Korea’s attitude and changes i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Russia’s cooperation is also essential in pursuing President Park’s Initiative for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nother major pillar of the Trustpolitik. In Northeast Asia, there exists a mismatch between economic and political evolution. While economic interdependence among the countries in the region is growing year by year, political and security cooperation remains very weak. Moreover, frictions over historical and territorial issues are on the rise. This phenomenon, which we call the Asia Paradox, is essentially attributed to the lack of trust among the countries in the region.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is an initiative to build the infrastructure of trust in the region by accumulating practices and habits of cooperation and dialogue in order to overcome this paradox.

When habits of multilateral dialogue and cooperation set in on soft issues such as nuclear safety, disaster relief and combating climate change, it will gradually lead to further dialogue on regional security. In particular, nuclear safety is an area where a tangible progress could be made without much difficulty given that regional cooperation in this area is not only feasible but also timely and relevant. In addition, if a progress is made in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the two Koreas and Russia in the areas of railway, energy, electrical power and logistics, it will naturally induce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to be engaged, which in turn will add an impetus for actively pursuing the Initiative for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Peninsula Trust-Building Process an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will lead and complement each other in a mutually reinforcing way. The growing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will greatly contribute to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nd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will prompt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to take part in the trust-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On top of this, when th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share the vision for regional peace and security,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i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Ladies and Gentlemen,

According to a 2011 OECD report, Russia’s great strength lies in its abundant natural and human resources, geographical proximity to the markets of developed and emerging economies, state-of-the-art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frastructure, and the introduction of global standards upon its accession to the WTO. There are numerous potential areas of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ranging from agriculture, fisheries, marine transportation, shipbuilding, science and defense technology, aerospace, to the development of the Arctic. As Russia is seeking to develop harbors not only in the Far East but also in the coastal areas of the Arctic Ocean, ample opportunities exist for cooperation in the area of shipbuilding such as LNG carriers and icebreakers.

The Arctic development is also an area of great potential for bilateral cooperation. As you may know, last May, Korea became a permanent observer of the Arctic Council thanks to the support of the member countries including Russia. The Arctic Ocean, which is often dubbed the new Silk Road of the 21st century, will soon rise as a new frontier in our bilateral cooperation.

In order to make an in-depth assessment of the feasibility, viability, and priorities of all these potential projects of cooperation with Russia, the Korean government will soon set up a special task force in which all the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will participate. The task force will develop short and long-term plans for cooperation and also work on the draft joint statement on the vision for the Korea-Russia partnership that will be announced at the next summit.

(Other Eurasian Countries and Vision for Partnership)

Distinguished Guests,

Cooperation with other Eurasian countries including those in Central Asia is another major pillar of Korea’s Eurasian policy. Korea and these countries share the long history of exchanges through the ancient Silk Road and the peoples on both sides are bound by historical, cultural and ethnic links. But, it was only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at they began to recognize each other once again as friends and partners.

Since then, however, development in our relations has been remarkable. Trade volume reached 28.3 billion dollars, 129-fold increase compared to 20 years ago, and Korea’s investment in this region increased by 79 times in the same period. In particular, Korean drama and K-pop are very popular in the region, while many Korean students are taking up studies on the Eurasian countries. It seems to me that the Silk Road, which used to be the main artery of the past civilization, is reemerging on the horizon.

Indeed,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other Eurasian countries are entering into a new era of cooperation. Thanks to historical solidarity and Korea’s charm as a development model, the two sides have been steadily reinforcing cooperation across-the-board.

Being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ilk Road, Eurasi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ast in promoting exchang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region still carries value as a logistical hub that connects big markets such as Russia, India and China. Also, due to its vast land and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labor forc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gion may one day become a global factory.

However, the majority of these Eurasian countries embarked on a road to industrial modernization only after the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As latecomers, they carry a heavy burden of escaping a resource dependent economy, while pursuing industrial diversification. These landlocked countries also face greater constraints in trading with other countries.

Korea, for its part, has achieved industrialization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nd as a result has been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the global value chain. This has been possible because of the political leadership’s strong commitment to national development, a large pool of elite technocrats, and, above all, people equipped with the ‘can-do’ spirit. Economic development served as a solid basis for achieving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Korea has now become one of the most dynamic and vibrant democracies in East Asia.

Korea is ready to share its development experiences with other Eurasian countries. We are also committed to working together with these countries to build a mutually beneficial partnership by working on specific needs for cooperation not only in the areas of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but also in the areas such as IT, medical services, environment, agriculture and industrial technology.

In fact, given the strategic importance of Central Asia, Korea has been holding the Korea-Central Asia Cooperation Forum at the vice-ministerial level since 2007 to discuss ways to enhance cooperation in areas such as forestry, railway, petroleum, textile and agriculture. At the seventh Forum that will be held in Kyrgyzstan this October, we expect that a roadmap will be worked out on Korea-Central Asia cooperation. We also plan to upgrade the Forum to ministerial level and expand the scope of dialogue and cooperation by setting up a Korea-Central Asia Cooperation Center in the future.

Korea has also been continuously promoting cooperation with individual countries in the region. For instance, Korea launched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Uzbekistan and Kazakhstan in 2005 and 2009, respectively. Last week, President Park held the first summit with Kazakhstan President Nazarbayev on the sidelines of the G20 summit and agreed to deepen this strategic partnership by pursuing, among others, three big joint projects. With Uzbekistan, based on the existing friendly relations that were forged over the years through an active exchange of high-level officials, Korea plans to further expand the current scope of economic cooperation. We also plan to strengthen bilateral relations with Turkmenistan, Kyrgyzstan and Belarus, where we recently opened up embassies. As for Ukraine, Korea wishes to expand cooperation in new areas based on our existing cooperation in the area of space technology, which is best exemplified by the launching of Arirang-5 satellite. With Azerbaijan, we are currently pursuing projects in construction, fertilizer and transportation. Based on the outcome of these projects, we will further expand the scope of our bilateral cooperation.

These Eurasian countries are under the limelight not only for their geostrategic importance but also as the source of the next generation energy. As the region reaches its growth potential, its global influence will most likely grow in parallel. We hope that working together, Korea could contribute to realizing the potential of these countries, and thus promote greater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sides.

(Closing)

Ladies and Gentlemen,

Dostoyevksy, one of Russia’s greatest writers, once said, “The greatest happiness is knowing the reasons behind unhappiness.” In the 20th century, Korea suffered the loss of its sovereignty and experienced the pains of national division, war and poverty. We were able to escape from poverty and enjoy full freedom by working hard over the past half a century on the root causes behind such tragedies. And now Korea stands as a country which has successfully achieved both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Howeve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fragile; there are no signs of chance to end the division of the country. The Trustpolitik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s an expression of a commitment to completing our unfinished mission and usher in an era where not only the people on both sides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all citizens in Northeast Asia and beyond enjoy freedom, peace and happiness.

Korea’s Eurasian policy is also based on the Trustpolitik. More precisely, it is a trust-based approach to build a peace and common prosperity in Eurasia by working together with Russia and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Today, no ideological barriers separate Korea from these countries. There is only the commitment to work together to translate the limitless potential into reality. When this commitment is reinforced with trust, President Park’s dream of connecting railways from Busan to Europe via Russia and other countries in Eurasia will come true sooner than later. Thank you. //END//


----------------------------------------------------------------------------(국문 번역본)



존경하는 박철 총장님,
장대환 회장님,
안홍준 위원장님,
박진 전 의원님

각국 대사님들과 내외귀빈, 신사숙녀 여러분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하신 내외귀빈 여러분들 앞에서 박근혜 정부의 유라시아 정책에 대해 기조연설을 하게 된 것을 매우 뜻 깊게 생각합니다. 시의적절하고 의미 있는 정책포럼을 마련해주신 한국외국어대학과 매일경제 측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박근혜 정부의 유라시아 정책 비전

“부산에서 출발해 러시아를 거쳐 유럽까지 가는 철도가 있으면 좋겠다는 꿈을 꾸었습니다.“

지난 주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하신 말씀입니다. 얼핏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한반도종단철도(TKR) 연결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신 것처럼 보이지만, 저는 대통령님의 이 말씀이 당신의 유라시아 정책 비전을 함축적으로 표현하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유라시아 정책은 한․러, 남․북․러 삼각협력 및 전략적 요충지인 유라시아의 여타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유라시아 에너지, 교통, 물류망을 통합 및 확장시킴으로써 한반도를 중심으로 북방 경제권과 남방 경제권을 연결하겠다는 원대한 구상입니다. 박 대통령이 이번 G20 정상회의 계기에 러시아 및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각각 정상회담을 가진 것은 기본적으로 양국과의 관계 증진을 위한 것이었지만 유라시아 협력정책에 시동을 걸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저는 오늘 한국과 러시아 및 여타 유라시아국가들과의 관계가 우리의 유라시아 정책의 큰 틀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 정책적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어떤 구상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제 소견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한-러 관계와 유라시아 협력

한-러 양국은 분명 1세기 전부터 서로를 소중한 동반자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조선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던 1896년 고종이 민영환 특사를 니콜라스 2세에게 파견하여 러시아의 도움을 요청하였던 것은 바로 그러한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러일 전쟁 이후 한국전쟁 및 냉전에 이르기까지의 동북아 역사는 더 이상 서로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냉전 종식으로 양국이 다시 공식적인 관계를 맺게 되는 데에는 거의 100년이란 세월이 필요했습니다. 1991년 양국 수교 이후 20여 년이 흘렀고 그동안 양국 교역의 규모가 110배나 증가하고, 인적교류도 연 13만 명에 이를 만큼 양적 확대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양국이 오랜 단절의 벽을 허물고 진정한 동반자가 되기에 20년은 충분치 않았던 것 같습니다. 남북한 대치라는 냉전의 유산이 한․러 관계 발전에 장애요인이 되어 온 것 또한 엄연한 현실입니다. 2008년에 양국이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수립에 합의하였지만 아직은 수사에 머무르고 있고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솔직한 평가일 것입니다.

그러나 양국에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한․러 관계 발전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고 있습니다. 먼저 푸틴 정부는 소위 아․태 중시 정책(Look East Policy)을 표방하면서 지난해에 야심찬 극동 시베리아 개발정책을 발표하였고, 금년 초에 출범한 박근혜 정부도 유라시아 협력확대를 주요 국정과제로 채택하였습니다. 양국 지도자의 이러한 비전과 정책이 구체적 협력 프로그램으로 현실화 될 때 비로소 양국관계가 진정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난 9월 7일 상뜨페떼르부르그 G20 정상회의 계기에 이루어진 양국 정상의 첫 회담은 매우 성공적이었습니다. 박 대통령은 ‘지킬 것을 약속하고 약속한 것은 지킨다’는 신뢰외교에 기반하여 한․러 관계를 새로운 차원으로 한 단계 더 발전시킬 것을 제의하였고, 푸틴 대통령도 이에 전적으로 동감을 표시하였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허심탄회한 대화를 통해 개인적 신뢰를 쌓았고 금년이 가기 전에 다시 만나 양국관계의 미래 비전에 관해 보다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이 후속회담은 양국관계 진전에 중요한 전기가 될 것입니다.

지난 수년간 논의만 무성했지 별다른 실질적 성과를 보지 못함으로써 깊어진 좌절감을 극복하고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양국 간 신뢰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리는데 우선순위가 주어져야 할 것입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시범 경협사업 등을 통해 협력 경험을 축적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나진-하산 물류사업과 극동지역 개발 프로젝트가 좋은 예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시범사업을 통해 양국 간 신뢰가 제고되고 남북 관계에도 진전이 있게 되면 철도, 가스, 전력망 등 대규모 인프라 경협도 추진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한․러 경협의 질적, 양적 변화는 상당부분 남북관계 진전에 달려 있기 때문에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러시아의 역할이 한․러 경협 증진을 위해서도 매우 긴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양국이 가장 큰 관심을 두고 있는 남․북․러 3각 협력사업도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과 이로 인한 국제사회의 제재 국면 하에서는 실질적인 진전을 보기 어렵다고 봅니다.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추진함에 있어 러시아는 핵심파트너입니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강력한 억지력을 바탕으로 평화를 지키고(peace keeping) 강한 압박과 설득을 통해 평화를 만들어(peace making) 나가겠다는 정책입니다. 대화와 억지, 남북관계와 국제공조 사이에 균형을 취하면서 양자를 함께 추동해 나가겠다는 균형정책(alignment policy)이고,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이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진화하는 정책입니다. 따라서, 북한의 태도와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얼마든지 성과가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박근혜 정부 신뢰외교의 또 다른 축인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추진함에 있어서도 러시아의 참여와 협력은 필수적입니다. 동북아 지역은 역내 경제발전과 상호의존성은 나날이 증대하고 있지만, 정치, 안보면의 협력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고, 역사와 영토를 둘러싼 갈등은 오히려 커지는 역설적 상황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른바 ‘아시아 패러독스’라 불리는 이 현상은 본질적으로 역내 국가 간 신뢰부족에 기인하는 것입니다. 신뢰위기에 직면한 동북아의 딜레마를 풀어 나가기 위해 협력과 대화의 습관과 관행을 축적하여 신뢰의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것이 바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입니다. 원자력 안전, 재난구호, 기후변화 대응과 같은 연성이슈를 위주로 다자적인 대화와 협력의 습관이 형성되다 보면 자연스럽게 지역안보에 대한 대화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역내 원자력 안전(nuclear safety)을 위한 협력은 실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의성도 있는 만큼 구체적인 진전을 이룰 수 있는 분야입니다. 또한 남․북․러 3국간 철도, 에너지, 전력, 물류 협력이 이뤄진다면 자연스럽게 여타 동북아 국가와의 연계가 가능할 것이고, 이로 인해 우리가 추구하는 동북아 평화협력구상도 탄력을 받을 것입니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은 상호 견인․보완하면서 추동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남북한 간 신뢰구축은 동북아 지역의 평화 협력에 크게 기여할 것이고, 동북아에서 평화와 협력을 위한 환경이 조성된다면 역내 국가들도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자연스럽게 동참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역내 국가들이 지역평화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게 된다면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난 2011년 OECD 보고서는 풍부한 천연자원과 축적된 인적 자본, 선진국, 신흥국 시장과의 지리적 인접성, 세계적인 과학기술과 연구 인프라, WTO 가입을 통한 글로벌스탠다드 도입 등을 러시아의 장점으로 꼽았습니다. 농업, 수산, 해운, 조선, 과학기술, 군사기술, 우주항공, 북극개발에 이르기까지 한․러 양국이 협력할 분야는 많습니다. 특히 러시아는 극동 지역 항만뿐만 아니라 북극해 연안항만 개발을 모색하고 있어 대형 LNG선, 쇄빙선 건조 등 조선 분야에서 우리와의 협력 기회가 많다고 봅니다.

북극 개발도 양국 간 협력의 잠재력이 큰 분야입니다. 지난 5월 우리나라는 북극이사회 정식 옵서버 자격을 얻었고, 이사회 회원국인 러시아는 우리를 지지해 주었습니다. 21세기 新실크로드라 불리는 북극해는 향후 한․러 양국 간 협력의 뉴프런티어가 될 것입니다.

우리 정부는 이 모든 잠재적 협력 사업의 실현 가능성과 타당성, 우선순위 등을 심층 검토하기 위해 조만간 범정부적인 T/F를 구성할 계획입니다. T/F활동을 통해 단기 및 중장기 협력 사업에 관한 구상을 보다 구체화해 나가는 한편, 차기 정상회담에서 발표될 양국 간 협력 비전에 관한 공동성명의 초안을 준비하게 될 것입니다.

여타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비전 

내외 귀빈 여러분,

중앙아시아를 포함한 여타 유라시아국가들도 우리 정부의 유라시아 정책의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이들 국가들은 고대 실크로드를 통한 장구한 교류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고, 서로를 이어주는 역사적, 문화적, 민족적 연계로 결속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냉전이 종식된 이후에야 서로를 다시 친구와 파트너로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양측의 관계발전은 놀랍습니다. 2012년 기준 쌍방 교역액 283억불은 20년 전에 비해 129배나 증가한 것이며, 이 지역에 대한 한국의 투자는 79배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한국 드라마와 K-pop이 이 지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고, 한국의 주요 대학에서는 유라시아국가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마치 과거 문명의 혈관 역할을 했던 실크로드가 다시 연결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이처럼 한국과 여타 유라시아국가들과의 관계도 새로운 협력의 시대에 들어서고 있습니다. 역사적 유대감과 개발모델로서의 한국의 매력 등에 힘입어 양측은 전 분야에 걸쳐 호혜적 협력관계를 착실히 심화시켜 오고 있습니다.

과거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 동서 문물 교류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이 지역은 지금도 여전히 러시아, 인도, 중국과 같은 거대시장을 잇는 물류 중심지로서의 가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방대한 국토와 풍부한 천연자원, 노동력을 가지고 있기에 장차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할 가능성도 크다고 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들 국가들은 소련의 해체 이후 비로소 산업 현대화에 나섰으며, 후발주자로서 자원 의존형 경제 탈피와 산업 다변화라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더구나 내륙국가로서 무역에 제약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한국은 단기간 내에 산업화를 이루었고, 그 결과 global value chain에 성공적으로 편입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산업화는 경제성장에 대한 정치 지도자의 확고한 의지와 우수한 테크노크랏의 광범한 pool 및 “하면 된다는 정신”(can-do spirit)으로 충만한 국민이 있었기에 가능하였습니다. 경제발전은 정치적 민주화의 기반이 되어 한국이 아시아에서 오늘날과 같은 가장 역동적인 민주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은 이러한 경험을 이들 유라시아 국가들과 공유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에너지, 자원 협력에만 머무르지 않고, IT, 의료, 환경, 농업, 산업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수요를 협력으로 구체화시킴으로써 상생의 협력을 추구할 것입니다.

한국은 그간 중앙아 국가들의 전략적 중요성을 감안, 2007년 이래 매년 차관급 한-중앙아 협력포럼을 개최하여 산림, 철도, 석유, 섬유,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논의해 왔습니다. 특히 금년 10월 키르키즈스탄에서 개최되는 7차 포럼에서는 한-중앙아 협력 로드맵을 제시할 계획이며, 앞으로 한-중앙아 포럼을 장관급으로 격상시키고 한-중앙아 협력센터도 설립하는 등 대화와 협력의 폭을 넓혀 나갈 계획입니다.

개별국가 차원에서도 한국은 역내 국가들과 협력관계를 꾸준히 증가시켜 오고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과는 각각 2005년, 2009년에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출범시켰습니다. 지난주 상뜨페테르부르그에서 박 대통령과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은 첫 정상회담을 갖고 3개 대규모 경협사업 추진 등 전략적 관계를 더욱 심화시켜 나가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우즈베키스탄과는 그동안 최고위급 인사 교류를 통해 다져진 양국 관계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경협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최근 우리 공관을 신설한 투르크메니스탄, 키르키즈스탄, 벨라루스와의 협력도 더욱 내실화해 나갈 것이며, 우크라이나와는 아리랑 5호 위성 발사 등 우주분야 협력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차원의 협력을 모색해 나갈 것입니다. 아제르바이잔과는 현재 건설, 비료, 교통 분야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고, 이들 프로젝트의 성과를 토대로 협력의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자 합니다.

이들 유라시아 국가들은 지정학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차세대 에너지 공급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으며, 성장잠재력이 발현될수록 국제적인 영향력도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과의 협력이 이들 유라시아 국가들의 잠재력 구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양측 간의 신뢰와 호혜협력관계가 더욱 심화되기를 기대합니다.

맺음말

내외 귀빈 여러분,

러시아의 대문호 도스토예프스키는 “가장 큰 행복은 불행의 원인을 아는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한국은 20세기에 국권침탈과 분단, 전쟁, 가난의 고통을 겪었습니다. 지난 반세기 동안 그러한 고통의 원인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과 반성을 통해 우리는 가난을 극복하고 자유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과 같은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한반도의 평화는 언제 깨질지 모르는 위태로운 상황에 있고, 분단은 극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박근혜 정부의 신뢰외교(Trustpolitik)는 이러한 미완의 과제를 실현하고 남북한 주민은 물론 동북아 지역과 지구촌 구성원 모두가 자유와 평화와 행복을 누리는 시대를 만드는데 앞장서겠다는 정책적 의지의 표현입니다.

우리의 유라시아 협력 정책도 이러한 신뢰외교를 기조로 한 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뢰를 기반으로 러시아 및 여타 유라시아 국가들과 함께 평화와 공동번영을 이룩해 나가겠다는 구상입니다. 이제 한국과 이들 국가들 사이에 이념의 장벽은 없습니다. 우리 앞에 펼쳐진 무한한 잠재력을 현실로 바꾸어 놓기 위해 함께 노력하여야겠다는 의지가 있을 뿐입니다. 이러한 의지가 신뢰로 결집되었을 때 박 대통령의 꿈처럼 부산에서 러시아 및 여타 유라시아국가들을 거쳐 유럽까지 연결되는 철도가 개통되는 날이 앞당겨질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