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주요논의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인권
  4. 주요동향 및 자료
  5. 주요논의동향
글자크기

제2차 한-UNHCR 정책협의회 개최

부서명
인권사회과
작성일
2019-05-03
조회수
5793
□ 우리 정부는 2019.5.2.(목) 스위스 제네바에서 제2차 한-유엔난민기구(UNHCR) 정책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에 우리측은 권기환 국제기구국장이, UNHCR측은 켈리 클레멘츠(Kelly Clements) UNHCR 부대표가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하였다.
◦ 양측은 2016년 제1차 한-UNHCR 정책협의회 출범 이래 전략적 파트너십을 지속 강화 중
※ UNHCR은 전세계적 난민 문제 대응을 위해 1950년 창설된 유엔 기구이자 우리 정부의 5대(UNDP, UNHCR, UNICEF, WFP, WHO) 중점 협력 기구 중 하나
- 2016년 제1차 한-UNHCR 정책협의회를 개최한 이후 금번 두 번째 협의 개최
 
□ 이번 회의에서 양측은 △전세계 난민 문제 및 UNHCR의 대응, △UNHCR을 통한 우리의 글로벌 난민 문제 대응 기여 방안, △난민 글로벌 컴팩트 이행 등 의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고, 향후 양측간 정책협의회를 정례화하여 양측간 파트너십을 보다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 UNHCR측은 한국이 2016 이후 주요 공여국 그룹인 ‘2천만불 공여국 클럽’ 자격을 유지하고 2018년 기준 세계 2위(44백만불)의 민간 기여를 기록하여 UNHCR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데 사의를 표명
※ UNHCR 2천만불 공여국 클럽 : UNHCR에 연간 2천만불 이상 공여하는 국가들의 비공식적 모임으로, 2019년 기준 한국, 미국, EU, 독일, 영국, 일본, 스웨덴, 노르웨이, 캐나다, 덴마크, 네덜란드, 프랑스, 스위스, 호주, 이탈리아, 핀란드, 벨기에,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UAE, 카타르 총 21개국이 해당
 
◦ 우리측은 전세계 난민 위기에 대한 포괄적 대응을 위해 작년 유엔에서 채택한 「난민 글로벌 컴팩트(Global Compact on Refugees)」 마련에 있어 UNHCR의 주도적 역할을 평가하고, 「난민 글로벌 컴팩트」를 통한 국제사회의 협력 필요성에 공감
 
※ 난민 글로벌 컴팩트(Global Compact on Refugees)
- 2016.9.19. 「유엔 난민・이주민 고위급회의」 결과 채택된 「뉴욕선언」에 따라 전세계 난민 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원칙, 공약 등을 담을 문서로서 UNHCR의 주도 하에 2018년 제73차 유엔 총회에서 채택(18.12월)
- 동 컴팩트 후속조치로서 제1차 「글로벌 난민 포럼」(19.12.17-18, 제네바) 개최 예정
 
◦ 아울러 우리는 작년 6월 출범한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Action with Women and Peace)」이니셔티브*와 그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방글라데시 로힝야 난민 및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성폭력 생존자 지원 사업을 소개하였으며, 양측은 동 이니셔티브 관련 협력 가능 방안을 모색키로 합의
 
* 국제사회의 주요 의제로 자리매김을 한 “여성‧평화‧안보” 분야에 우리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범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①분쟁하 성폭력 대응 관련 개발협력 사업 추진, ②여성ㆍ평화ㆍ안보 관련 국제회의 정례 개최
 
□ 이번 정책협의회는 양측이 글로벌 난민 위기 대응을 위한 공동 대응 및 전략적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 고위급 인사 교류 및 정책협의회 정례화 등을 통해 양자 차원의 협력을 보다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첨부 : 제2차 한-UNHCR 정책협의회 사진.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인권사회과
전화
02-2100-7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