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발간물 - 경제안보 Review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경제안보외교센터
  5. 발간물 - 경제안보 Review
글자크기

경제안보리뷰 6호(EU 경제통상 주요 입법 추진 동향 및 전망(1))

부서명
북미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2-12-13
조회수
578

EU 경제·통상 주요 입법 추진 동향 및 전망 (1)


 (배경) ① 코로나19 팬데믹·우크라이나 사태 등을 겪으며 원자재, 반도체, 배터리, 에너지 등 다양한 부문에서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남에 따라, EU의 자체 역량 부족 문제가 대두 ② 美-中간 무역분쟁 심화, 상대적으로 엄격한 EU의 환경·노동기준으로 인해 EU 역내기업이 피해를 입고 있다는 인식이 확대 


  EU는 ’21년부터 ‘개방된 전략적 자율성(open strategic autonomy) 개념 하에 복원력과 경쟁력 지속가능성 공정성 단호함 규칙 기반 협력을 바탕으로 EU 경쟁력 강화 및 이익 보장을 위한 입법안 지속 발표 중

   - EU는 ’16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했던 ‘전략적 자율성’ 대신 ‘개방된 전략적 자율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글로벌 연결성, 다차원적 상호의존성이 증가하는 환경과 공격적 경쟁에 대한 EU의 단호한 대응 의지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

EU공동연구센터(JCR, 2021), ‘Shaping & securing the EU’s open strategic autonomy by 2040 and beyond’

법안명

EU 내 입법단계*

집행위

제안(초안)

유럽의회

수정안

이사회 수정안

3자협의

타결

유럽의회

승인

이사회

승인

발효

역외보조금

`21.5월

`22.5월

`22.5월

`22.5월

`22.11월

`22.11월

`23.3분기 시행 전망

탄소국경조정제도

`21.7월

`22.6월

`22.3월





배터리규정

`20.12월

`22.3월






반도체법

`22.2월


`22.12월 

(general approach)





핵심원자재법

`23. 1분기 예정







공급망실사지침

`22.2월

`23.5월 예정

`22.12월





강제노동제품금지

`22.9월







단일시장비상조치

`22.9월







강압대응조치

`21.12월

`22.10월

`22.11월





출처: 내부 보고자료 및 저자 수정

내용: 입법단계는 통상 약 2년 이상 소요되며, 상기 법안 중 공급망실사지침을 제외하고 8개 법안이 전부 규정으로 발의됨 

 ※ (EU 법안 유형) △ 규정(regulation) : 회원국의 별도 국내 입법과정 없이 적용 △지침(directive) : 회원국이 관련 국내법령 제정을 통해 적용

 본고는 발효를 앞둬 우리나라 경제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경제안보 관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는 EU 주요 경제·통상 법안의 입법 추진현황 및 주요 이슈를 우선 점검함.



 `23년 상반기 내 발효 전망 법안   

  

역외보조금

(`23 3분기 시행 전망)

EU 기업 인수·합병, EU 공공조달 참여시 제3국 정부로부터 일정 기준 이상의 재정적 기여 수혜 여부를 EU 집행위에 신고 및 사전허가 필요

탄소국경조정제도

(CBAM)

(`21.7월 초안 발표)

對EU 상품 수출시 특정 제품에 대해 생산과정에서의 직·간접적 탄소배출량에 상응하는 CBAM 인증서 구매 의무 

배터리규정

(`20.12월 초안 발표)

배터리 여권제도(원료 원산지, 재활용 비율 등 정보 非공개) 

재활용 원료(니켈, 코발트, 리튬, 납) 사용 비율 규정 공급망 실사 등

동 법안들은 우리 기업의 행정부담, 불확실성, 비용상승 등 야기할 우려있으나, 발효 후 전환기간을 명시 ⇒ 구체적인 규제 내용이 정해지면 국내 이해관계자들에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이, 본격적인 시행에 앞서 혼란을 최소화하는 방법일 것

   - (역외보조금) ’22.12월 중 발효될 전망이며, 발효 6개월 후 시행

   - (탄소국경조정제도) 23.1월 시행을 목표로 했으나 적용품목, 시행일정 등 세부 내용에 대해 이사회·의회·집행위 제안이 달라 합의 필요. 인증서 구매 의무는 26년부터 적용 목표 (의회 수정안에서는 27년부터) 

   (배터리규정) 22년 내 발효를 목표로 했으나 현실적으로 남은 기간 내 승인을 거쳐 발효되기 어려울 전망. 여권제도 도입은 ’26년부터, 재활용 원료 사용 비율 적용은 ’30년부터 적용 목표



 `23년 하반기 이후 발효 전망 법안  

 

반도체법

(`22.2월 초안 발표)

역내 반도체 생산역량 강화 ▴기술투자 확대 ▴조기경보시스템 수립

핵심원자재법

(`23년 1분기 초안 발표 예상)

역내 공급망(생산·가공·재활용) 강화 ▴공급망 다변화 ▴연구혁신

▴핵심원자재 재활용 확대  ▴조기경보시스템 수립 

공급망실사

(`22.2월 초안 발표)

매출·고용수 조건을 충족하는 EU 기업과 EU 내 매출 발생 제3국 

기업에 환경·노동 관련 공급망 실사 의무 부과, 위반시 행정제재

강제노동 제품금지

(`22.9월 초안 발표)

강제노동을 이용해 생산된 제품의 EU 내 생산·판매·수입·수출 금지

단일시장비상조치

(`22.9월 초안 발표)

급망 교란 발생시, ▴EU 역내 기업에 특정 상품의 비축 권고 

우선 생산 및 공급 의무화 정보(생산능력, 재고, 계약내용 등) 제공 요구

강압대응조치

(`21.12월 초안 발표)

제3국의 EU에 대한 경제적 강압시 대응조치(對EU 수출입, 투자 제한 등) 발동


 ㅇ 각 법안의 특성별로 기회요인과 리스크요인이 병존할 전망

    - (반도체법, 핵심원자재법) ▴(기회) 한-EU 협력(조기경보시스템 연계, 공동 연구혁신,     제3국 원자재 공동 개발 등) ▴(리스크) 반도체 부품·소재, 핵심원자재 확보 경쟁 가열

    - (공급망실사, 강제노동 제품금지) ▴(기회) 환경·노동 기준 미흡 제3국 기업 배제시 EU  시장 內 우리 기업의 반사이익 ▴(리스크) 공급망 점검 관련 행정부담 및 불확실성

    - (단일시장비상조치)▴(기회) 위기시 정부 대응에 대한 불확실성 감소 ▴(리스크) 역외 수출 제한(코로나19 백신 사례), 정보제공의무 및 우선공급명령에 대한 우리 기업의 부담 

    - (강압대응조치)▴(리스크) 對제3국 강압대응조치 下 간접 영향(제3국 내 우리 기업의 對EU 수출 제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