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주요논의

외교정책

한국의 경제혁신과 사회통합을 위한 OECD 권고

부서명
외교부 > 다자경제외교국 > G20‧경제기구과
작성일
2014-06-26
조회수
4122

(주OECD대표부 게재자료)



한국의 경제혁신과 사회통합을 위한 OECD 권고

※ OECD는 약 2년 주기로 회원국의 경제동향․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평가하여 정책권고 사항을 포함한 국가별 검토보고서를 발표하고 있으며, 아래 내용은 6.17일 OECD가 발표한 한국경제보고서의 주요 내용임

※ 자료출처: 기획재정부 보도참고자료
※ 보고서 원문은 http://dx.doi.org/10.1787/eco_surveys-kor-2014-en 참고

undefined의 메뉴에서 제목이 한국의 경제혁신과 사회통합을 위한 OECD 권고에 관한 페이지입니다.


 ◇ 한국은 지난 10년간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
  ㅇ ’11~’12년의 경기 부진에서 벗어나 ’13년 중반 이후 4% 수준의 성장률을 회복하였으며,
     - ’14~15년에도 각각 4.0%, 4.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한국은 그간의 ‘추격형 성장(catch-up strategy)'에서 벗어나기 위해 ’창조경제 육성'을 새로운 성장전략으로 추진
 ㅇ 벤처기업이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사회복지 지출 증가와 고용 확대를 위한 로드맵을 포함한 사회통합도 강조
 ㅇ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한국 정부는 이번 보고서에서 논의된 상당수의 정책방안이 포함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발표

< 경제혁신 3개년 계획 평가 (Annex A1) >

․ 박근혜 대통령은 ’14.2월 ‘제2의 한강의 기적(second miracle on the Han River)' 달성에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발표
․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성장잠재력 확충과 저성장 위기 극복을 위해 필요한 과감한 구조개혁(bold structural reforms)이 포함된 포괄적인 계획(comprehensive plan)’이며,
․ 박근혜 대통령의 적극적인 관심 표명과 실적 점검에 대한 강력한 의지 등은 계획의 성공 가능성을 크게 높여줄 것으로 기대

 ㅇ 이러한 계획은 최근의 경기회복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한국이 최고 수준의 선진국가에 더욱 근접하고 사회통합과 삶의 질을 제고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임


1. 한국경제 평가와 거시경제정책
(Korea's economic expansion and macroeconomic policies to sustain it)

□ ’11~’12년간 2%대의 느린 성장세를 경험했으나, ’13년 들어 주택투자 증가, 수출 증대에 따른 고용 유지 등에 힘입어 회복세 전환
ㅇ ’13년에 추경 예산을 편성하였고, 관리재정수지 균형수준 회복 목표를 ’17년 이후로 연기
ㅇ 물가상승률은 저성장과 상품가격 하락 등에 따라 1%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며,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5% 수준에서 유지

□ 한국 경제는 높은 가계부채 수준과 취약한 부동산 시장 여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
ㅇ 정부는 국민행복기금을 통해 가계부채 문제에 대처하고 있으며, 주택투자는 ’13년 이후 반등하였으나 과거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

□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 경제성장률은 ’14년 4.0%, ’15년 4.2% 전망

ㅇ 세계무역 회복에 따른 수출 개선이 기업 투자 회복에 기여하고, 고용과 임금 개선세 지속 등으로 민간소비도 증가 예상
ㅇ 경제성장과 함께 물가상승률은 ’15년에 거의 3%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경상수지 흑자는 GDP대비 약 4.5%로 축소 전망

□ 가계부채와 주택 부문에 대한 정부 정책이 효과를 거둘 경우, 대내 불확실성은 상당 부분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ㅇ 다만 美 양적완화 축소의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된 반면, 엔저현상과 신흥국 불안 등의 대외 리스크요인이 상존
ㅇ 양호한 일반정부 재정수지 수준과 낮은 국가채무 비율 등을 감안시, 경기하방 위험이 현실화될 경우 경기 부양 지원을 위한 통화․재정정책 여력을 보유

□ 상당한 규모의 사회보장 잉여금*과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되는 국민연금 기금* 등은 향후 사회복지지출 재원 조달에 기여할 전망

* 사회보장 잉여금은 ’12년 GDP대비 2.8% 수준이며, 국민연금 기금은 ’35년에 GDP대비 50%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ㅇ 향후 예상되는 사회복지지출 증가 압력을 감안시, 단기적인 재정정책 유연성과 재정건전성 유지 노력이 조화를 이룰 필요
ㅇ 장기적으로 재정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정준칙(fiscal rule)을 포함한 강력한 재정정책 틀이 필요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2년 중반 이후 목표 수준을 하회
ㅇ 경기 하방 위험이 현실화될 경우 통화완화 정책이 적절하나, 경기회복 예상 하에서 추가 완화정책 없이 목표수준 회복 전망

□ 원화의 추가 절상은 내수․수출 균형경제 달성에 기여하고, 한국의 경상수지 감소에 따라 다른 나라에 긍정적 파급효과 발생

□ 한국의 충분한 외환보유액*은 외부 충격에 따른 위기 발생에 대응하고 대외 차입비용을 절감시키는 데에 기여
* 외환보유액은 3,540억달러(’14.3월 기준)이며, 단기 대외부채의 3배 초과(’13년말 기준)
ㅇ 다만 외환보유액 유지는 통상적으로 낮은 수익률, 재정 부담, 환위험 등의 비용이 수반되며, 이는 통화스왑을 통해 보완 가능

undefined의 메뉴에서 제목이 한국의 경제혁신과 사회통합을 위한 OECD 권고에 관한 페이지입니다.

정책 권고
◇ 현재의 경기개선세 지속을 전제로, ’17년까지 관리재정수지 균형수준 회복 목표를 차질없이 달성
 ㅇ 경기 하방위험이 현실화될 경우, 통화정책을 추가적으로 완화하고 단기적인 재정정책을 통한 경기부양 실시
◇ 외환보유액의 추가 확충에 따른 비용과 편익을 신중하게 고려  

 
2. 한국의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창조경제 촉진
(A new economic paradigm for Korea: promoting a creative economy)


□ 과거 노동․자본 요소투입에 기반한 수출․제조업 중심의 경제성장은 생산가능인구 하락 등에 따라 효과가 감소
ㅇ 향후 선진국과의 소득격차를 보다 좁히기 위해서는 창조성․ 혁신에 기반한 생산성 향상 노력이 중요

< 혁신 시스템 개선 >

□ 한국의 R&D 지출은 OECD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나, 기업 R&D가 대기업에 집중되어 중소기업의 낮은 생산성의 원인으로 작용
ㅇ R&D 분야에서 대학의 역할이 미흡하여 기초연구 수행에도 제한을 받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의 산학 협력이 강화될 필요
ㅇ 또한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R&D 역량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혁신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수준도 낮은 상황

< 창조경제 촉진을 위한 체계상의 조건(framework conditions) >
□ 한국의 낮은 자원배분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규제 완화, 외국인 직접투자 활성화 등과 함께 기업 환경을 개선할 필요
< 벤처기업 및 창업 촉진 >
□ 벤처 캐피탈 시장은 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큰 규모이나, 아직 발전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다수의 취약점 존재*
* 엔젤 투자자 수 감소세, 높은 정부 자금․연기금 비중, 창업 기업에 대한 투자비중 저조, 미약한 수준의 M&A 시장 등
 ㅇ 정부가 엔젤투자 촉진, 크라우드 펀딩 도입, M&A 시장 육성 등의 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벤처 캐피탈 시장 발전을 위해서는 코넥스(KONEX) 시장의 역할이 중요

< 중소기업 부문 재활성화(Revitalising) >

□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생산성 격차가 계속 증가*하는 가운데,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관대한 지원**은 금융시장 발전 저해, 구조조정 지연, 과도한 부채에 따른 금융 위험 증가 등의 부작용 수반
* 중소기업 근로자 1인당 생산이 ’00년 대기업의 33%에서 ’11년 28%로 하락
** 신용보증이 은행대출의 12%(’11년 기준)로, OECD 평균인 5%를 상회
 ㅇ 중소기업 지원은 민간 자금조달을 저해하는 시장실패 해소에 주력해야 하며, 중소기업 지원 관련 사업수도 감축할 필요
   - 또한 공공부문 지원이 창업 기업 및 벤처기업에 집중될 필요
ㅇ 그 밖에 중소기업의 인터넷 활용도를 제고하고, 직업훈련 확대 등을 통해 중소기업 인력 수급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

□ 대․중소기업 상생을 목적으로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도를 통해 대기업 활동을 제한하기 보다는 모든 기업에게 매력적인 국내 시장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

< 서비스 부문 육성 >
□ 제조업 위주의 경제발전 과정에서 우수 자원이 제조업에 집중됨에 따라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이 저조*한 상황
* ’12년 현재 서비스 부문 생산성은 제조업의 45% 수준으로, OECD 평균(86%)을 하회
ㅇ 상대적으로 제조업을 우대하는 정책을 폐지하고, 경쟁 촉진을 위해 서비스업 부문의 규제를 완화할 필요

< 녹색 성장 및 환경 목표 >
□ 녹색성장 촉진과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해서는 배출권 거래제를 ’15년부터 실시하기로 한 기존 계획의 차질없는 이행이 중요
* 온실가스 배출량은 ’07~’11년 기간 동안 18% 증가
ㅇ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요금을 최소한 생산 원가 수준으로 인상하여 에너지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하는 것도 필요

undefined의 메뉴에서 제목이 한국의 경제혁신과 사회통합을 위한 OECD 권고에 관한 페이지입니다.


정책 권고

< 혁신에 새로운 주체의 등장 유도 >
◇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을 점차 축소․간소화하되, 창업 초기 기업에 지원을 집중하고 졸업제도 도입을 통해 공적지원 장기화를 방지
 ㅇ 대기업 계열사에 대한 시장진입 제한은 점진적으로 폐지

◇ 적절한 수준의 투자자 보호 조치를 통해 최근 설립된 코넥스(KONEX) 시장을 창업기업의 중요한 자금조달 수단으로 육성

◇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을 중소기업의 수요에 맞게 개선하고 중소기업 성장 촉진을 위해 인터넷 활용을 활성화

< 혁신 체계의 개선 >
◇ 대학의 역할 확대,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수준 제고 및 국제 협력 강화 등을 통해 혁신 체계를 개선
 ㅇ 상품시장 규제 완화를 통해 혁신에 대한 투자의 성과 제고

< 혁신과 새로운 주체를 신 분야에 집중 >
◇ 기업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제조업과의 형평성 제고, 진입장벽 제거를 통한 경쟁 확대, 규제 개혁, 무역과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장벽 축소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을 육성

◇ 배출권 거래제(ETS)를 계획대로 ’15년에 시행하고, 배출권 거래제 이외의 부분에서는 탄소 배출에 대한 과세제도 정비
 ㅇ 전기요금은 최소한 생산 원가를 충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상  

 

3. 사회통합과 삶의 질 제고
(Promoting social cohesion and well-being)


□ 한국은 ‘97년 외환위기 이후 소득 불평등과 상대적 빈곤 심화*
* 소득 5분위 배율은 5.7(’09년 기준)로 OECD에서 10번째로 높으며, 중산층 비중은 ’90년 75.4%에서 ’10년 67.5%로 감소
 ㅇ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여성고용 촉진을 통한 고용률 70% 달성, 사회복지 시스템 강화, 교육 개혁, 노인빈곤 완화, 가계부채 해결 등에 초점을 둔 정책 필요

< 노동시장 정책 >
□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과 고용률을 ’17년까지 70%로 제고하는 것을 정부 정책의 최우선 목표로 설정
ㅇ 노동시장 이중구조*로 인해 낮은 사회 안전망 수준, 고용 불안, 높은 이직률 등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영향 발생
* 전일자 근로자 중 거의 1/4이 중위임금의 2/3 미만의 소득 달성(OECD중 2위)
- 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고용보호 축소,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직업훈련 개선 및 사회보험 보장범위 확대 등이 필요

ㅇ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서는 여성 고용 증대 노력이 중요
* 여성 고용률은 여성 생산가능인구 대비 53.5%(’12년 기준)으로 OECD중 하위 10위
- 시간제 일자리의 낮은 임금 수준이 고학력 여성의 고용 참여를 저해하는 만큼,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이 필요
- 또한, 무급 가사노동에서의 양성평등 제고, 성별간 임금격차 완화, 영유아 보육 및 교육 개선 등의 노력도 병행될 필요

< 사회 복지 사업의 효과 제고 >
□ 재분배 효과 개선을 위해 기초생활보장제도(BLSP), 근로장려세제(EITC) 등의 사회 안전망을 개선할 필요
ㅇ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자격기준을 완화하고 현물급여 수령 기준을 중위소득의 40~50%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 
- 근로장려세제 또한 적용범위를 저소득층으로 확장하고 지원 규모를 확대하여 제도의 효과를 제고할 필요


ㅇ 증가하는 사회복지지출 재원 조달을 위해서 소득세의 세원 확충, 간접세의 역할 확대 등의 성장친화적 조세제도 개혁이 요구

< 사회통합 촉진을 위한 교육 개혁 >
□ 취업 전망․장래 소득 등이 방과후 과외학습에 과도하게 의존하여 기회 평등이 저해되는 상황
ㅇ 방과후 과외학습에 대한 의존도 절감을 위해 학생부 교과전형(school record system)의 역할 확대 등의 교육개혁이 필요

< 높은 노인 빈곤율 축소 >
□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들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이며,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을 통한 노인층 지원도 취약
* 65세 이상 인구의 49%(’11년 기준)가 상대적 빈곤상태이며(OECD 평균 13%), 절대빈곤 노인층의 비율은 약 26%(150만명, ’13년 기준) 수준으로 추정
ㅇ ’14년에 기초연금의 급여액을 20만원으로 확대하였으나, 노인 빈곤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
 - 정부는 기초연금을 최저소득 노인층 지원에 집중하여 절대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
ㅇ 국민연금은 보험료 납부자 수의 확대, 평균 보험료 납입기간 연장, 소득대체율을 50% 수준으로 유지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
- 이와 함께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제도 발전을 통해 민간 저축을 증가시키려는 노력도 중요

< 높은 가계부채 문제에 대응 >
□ 저소득층을 위한 우대 대출은 상환 능력을 갖춘 계층에 한해서 지원되어야 하며, 우대 대출 상환 여력이 부족한 계층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통한 접근이 바람직
ㅇ 채무조정 프로그램의 경우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려는 노력이 중요
ㅇ 소형 비은행 금융기관 등을 활용하여 시장 기능에 의해 저소득․저신용 가구에 신용이 제공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

undefined의 메뉴에서 제목이 한국의 경제혁신과 사회통합을 위한 OECD 권고에 관한 페이지입니다.

정책 권고
< 노인 빈곤을 포함한 빈곤 감축 >
◇ 기초연금은 최저 빈곤 수준의 노인층이 절대적 빈곤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데 집중
◇ 국민연금 포괄범위를 확대하고 소득대체율을 약 50% 수준으로 유지하되, 증가하는 연금지출 충당을 위해 연금 보험료율을 인상
◇ 퇴직연금 도입 가속화와 개인연금 강화를 통해 은퇴에 대비한 민간저축을 확대

< 기타 분야 >
◇ 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고용보호 축소,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사회보험 적용․직업훈련 강화를 통해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 도덕적 해이를 최소화하고, 가계부채 증가를 억제하면서 가계부채 연체 문제에 대처
◇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과 보육의 질 개선 등을 통해 여성 등의 고용률 제고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