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주요논의

외교정책

2014년 OECD 개발 원조위원회 각료급 회의 결과

부서명
외교부 > 다자경제외교국 > G20‧경제기구과
작성일
2015-01-30
조회수
1408

(주OECD대한민국대표부 홈페이지 발췌)

2014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 각료급 회의 결과

뉴포커스의 메뉴에서 제목이 2014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 각료급 회의 결과에 관한 페이지입니다.

◈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는 12.15~16일 파리에서 각료급회의(High Level Meeting)를 개최하여 양허성차관(concessional loan)의 ODA 측정방식 변경, 최빈국에 대한 ODA 지원규모 확대 공약, 민간금융수단의 활용 및 평화유지활동의 ODA 측정방식 개선 작업 착수,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총공적지원(Total Official suppor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 도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각료성명서를 채택 

◈ 2015년 개최 예정인 제3차 개발재원총회, UN특별정상회의 등을 앞두고 국제사회의 새로운 개발재원 체계 마련을 위한 노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1. 개요

◦ 빈곤 퇴치에 초점을 둔 새천년개발목표(MDG)의 달성시한(2015년)을 앞두고 국제사회는 최근 수년간 Post-2015 개발의제 수립을 추진 중

◦ OECD DAC은 개발재원 통계에 대한 전문성을 활용하여 동 의제의 이행 관련, 포괄적 개발재원 측정에 기여코자 2012년 각료급 회의를 통해 개발재원 통계 현대화 작업을 개시

◦ 금번 각료급 회의는 지난 2년간 DAC이 진행해온 작업에 대한 중간성과 점검 회의 성격으로, 차관의 양허성 개념 재정립, 최빈국에 대한 ODA 지원 확대 등 쟁점사항에 대한 회원국간 합의를 이끌어내고, 2015년 중 진행할 추가 작업 방향을 제시함

2. 주요 회의내용


□ ODA 차관 측정방식 현대화

◦ 현행 ODA 정의* 및 측정방식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회원국 간 상이한 이해를 해소코자, 순지출** 방식의 측정방식을 위험조정 증여등가액(Risk-adjusted Grant Equivalent) 방식으로 변경
(* 공적주체가 제공, 수원국의 경제개발과 복지증진에 사용, 양허적이고 증여율 25% 이상)
(** 당해연도 차관 총지출액 - 과거 차관지원에 따른 원금 상환액)

◦ 위험조정 증여등가액 방식은 수원국 소득수준에 따른 위험조정할인율*을 적용하여 차관의 증여성격 부분을 측정하고 이를 ODA로 산정
(*6%(상위중소득국), 7%(하위 중소득국), 9%(최빈국 및 기타 저소득국))
- 양허성이 큰(softer condition) 차관일수록 더 많은 금액이 ODA로 인정되어 저소득국에 대한 지원 증가를 유인
- 한편, ODA 적격기준으로서 수원국 소득그룹별 최소 증여율*을 설정하고, IMF 및 WB의 관련 정책을 준수키로 합의하여 개도국의 채무건전성 악화방지를 위한 장치 마련
(*10%(상위중소득국), 15%(하위 중소득국), 45%(최빈국 및 기타 저소득국))

◦ 수원국 소득그룹별 ODA 적격 최소증여율에 대해 이견이 표출되는 등 어려운 합의 도출 과정을 거쳐 회의 둘째 날 최종 합의에 성공

□ 최빈국* 등 특별수요국에 대한 ODA 확대계획
(*Least Developed Countries: 1인당 국민소득, 문맹률, 평균 수명, 경제구조 취약성 등을 고려하여 UN에서 발표하는 개발도상국)

◦ 2011년 UN 최빈국 정상회의에서 채택한 ODA 확대 목표(최빈국 대상 ODA/GNI 0.15~0.20%)에도 불구하고, ODA 의존도가 높은 특별수요국에 대한 ODA 지원규모 감소 추세를 지적하며 DAC 차원의 정치적 노력을 제고해야 할 필요성 강조

◦ DAC 공동의 목표로서 ▲최빈국에 대한 ODA 지원 감소 추세 역전, ▲ODA 지원 현황 모니터링, ▲ODA를 가장 필요로 하는 나라 및 추가적 지원이 필요한 나라를 확인(identify)하기 위한 연구 이행, ▲다양한 지원 채널·수단·양상을 고려한 ODA 효과성 및 품질 제고에 합의

◦ 한편, 각국별 ODA/GNI 규모, 2011년 UN 최빈국 정상회의시 별도로 발표한 국별 공약 등을 고려할 때, 모든 국가가 유엔 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려운 상황임을 인식

□ 민간금융수단의 ODA 통계 측정방식

◦ 2015년 중 DAC 통계작업반은 민간금융수단을 통한 활동 관련, 기관 및 금융수단별 접근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하기로 합의

□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총 공적지원(TOSD)

◦ ODA 이외에 개발에 연관되는 폭넓은 공적재원을 측정하는 Total Official suppor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체제 도입 필요성 및 동 체제가 ODA를 대체하지 않고 보충하는 개념이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회원국간 합의가 도출

◦ 반면, ▲TOSD의 구체 범주, ▲공적 지원을 통해 조성된 민간 재원 및 개도국으로의 실질적 유입이 없는 자금의 TOSD 포함 여부에 대해서는 Post-2015 개발의제 확정과 연계하여 2015년 중 추가 논의를 통해 차기 각료급 회의에서 확정키로 합의
-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는 활동에 투입된 공적 재원은 양허성 여부 및 자금의 종류와 무관하게 총지출 기준으로 계상

□ 평화 및 안보 활동의 ODA․TOSD 인정 범위

◦ 평화 및 안보가 개발의 전제조건(enabler)이자 결과(outcome)라는 점에는 모두 공감하였으나, ODA 또는 TOSD로 인정되는 평화 및 안보 활동의 범위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키로 함

◦ 차기 각료급 회의에서 동 협의를 완료한다는 목표 하에 DAC 통계작업반 및 International Network on Conflict and Fragility(INCAF) 공동으로 구성된 작업반을 중심으로 추가 논의를 지속할 계획

3. 취약국 및 유럽개발보고서 등

□ 취약국 평화 구축 및 재건 지원

◦ 분쟁·폭력·정치적 불안정이 개발의 주요 걸림돌로 작용하는 한편, 세계 빈곤 인구의 42%가 현재 취약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동 인구가 62%로 확대될 전망인 현 시점에서 취약국에 대한 평화 구축 및 재건 지원 필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별도 조찬 세션을 마련하여 취약국 이슈에 대한 회원국간 의견을 교환

◦ 대부분의 회원국은 뉴딜 원칙*이 정책에만 반영될 것이 아니라 취약국 현장 차원에서 실질적으로 이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특별히 강조
(*뉴딜(New Deal for Engagement in Fragile States) : 취약국에 대한 접근방식이 기존의 원조방식과 달라야 한다는 전제에서 2011년 부산세계개발원조 총회 계기에 채택된 분쟁 및 취약국 지원에 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

◦ Post-2015 개발의제에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구축 목표가 반영되어 있음을 평가하고, 동 개발의제에서 평화구축의 중요성이 보다 더 부각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제기

□ 유럽개발보고서 비공식 발표

◦ 국제개발을 위한 ODA의 역할이 여전히 중요한 한편, 다양한 개발재원 마련을 위해서는 재원의 종류와 동원 방식을 다변해나가야 할 필요

◦ 효과적인 개발재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국내적인 정책 및 재정 제도뿐 아니라, 글로벌 정책 환경 조성이 필요

◦ 수익의 불확실성, 투자기간 장기화, 고위험, 높은 초기투자 비용 등으로 인해 대규모 인프라 사업은 점차 제한적으로 실시되는 반편, 대 개도국 민간기업 투자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추세

* 작성 : 김지준 참사관 (원소속 : 외교부), jjkim95@mofa.go.kr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