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주요논의

외교정책

제12차 OECD 통계정책위원회 회의 결과

부서명
외교부 > 다자경제외교국 > G20‧경제기구과
작성일
2015-07-03
조회수
3218

(출처 : 주오이시디대표부 홈페이지)

             제12차 OECD 통계정책위원회 회의 결과

뉴포커스의 메뉴에서 제목이 제12차 OECD 통계정책위원회 회의 결과에 관한 페이지입니다.

◈ OECD는 6.17∼18일 양일간 스위스 제네바 유엔본부 회의장에서 제12차 통계정책위원회(Committee on Statistics and Statistical Policy) 회의를 개최하였음

◈ 동 회의에서는 통계관련 주요 이슈(세계화, 고용의 질, 포용적 성장 관련 지표 등) 및 관련사업에 대한 회원국 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졌음 

 
1. 주요논의 내용 요약

o [세계화 및 통합경제계정] 위원회는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s)이 세계경제의 지배적 특징이 되면서, 기존 무역 및 생산 통계의 현실 반영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언급하고 특히 다수 국가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의 상당부분을 담당하는 다국적기업 관련 자료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함
- 아울러 다국적기업은 경제세계화 속에서 아웃소싱 및 R&D 파급 등과 연계되어 있으며, 이들의 초국가적 성격으로 단일 국가에 중점을 둔 기존 통계로는 정확한 파악에 한계가 있으므로 다국적기업 자료의 질적 제고를 위한 연구 활동을 확대해 나갈 것을 요청함
- 우리 대표단장(통계청 정규남 차장)은 TiVA(부가가치 기준 무역측정)의 개선을 위해서는 공급사용표의 확장이 우선시되어야 하며, 이러한 맥락에서 추진하고 있는 한국의 기업특성별 무역통계(TEC) 개발을 소개함과 아울러 다국적기업의 자료수집 환경 및 자료의 내용면에서 확실한 개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함
- 또한 세계경제에서 다국적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하여 ▲다국적기업 활동 자료의 포괄적 수집과 통계작성 방법론의 정립 등 단계적 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회원국 간 자료 공유와 선도국의 우수 작성사례가 적절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기존 공식통계와의 상충문제에도 유의해야 함을 제안하여 위원회의 강한 지지를 얻음

o [고용의 질 측정] 위원회는 최근 중요한 정책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고용의 질(job quality)’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동 내용과 관련한 개념 수립 및 측정지표 개발에 대한 회원국들의 관심과 협조를 요청함
* UN의 ‘Post-2015 개발 어젠다’ 및 OECD의 ‘Better Life Initiative’ 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차기 OECD Employment Ministerial Meeting(’16.1.15) 의제로 논의 예정
- 최근 고용의 질 개념 및 측정 방법과 관련하여 ILO(2012), UNECE(2014), Eurofound(2012) 주관의 많은 연구와 진전이 있었으나, 다양한 국가에 적용 가능한 다차원적이고 유연한 프레임워크 개발 노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함
- 이에 위원회는 소득의 질(quality of earning), 노동시장의 안정성(labour market security), 근무환경(working environment)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Job Quality Framework”를 작성함
- 또한 기존 조사로부터 근로환경의 품질 관련 항목들을 모아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고용의 질 데이터베이스 개선 및 ‘직업 환경의 질 측정 가이드라인 개발 추진 계획을 발표함(*’15. 11월중 오픈 예정)
- 우리 대표단장은 금번 OECD의 ‘고용의 질’ 지표의 적절성에 동의하는 한편, 주관적 지표는 최소화하되, 지표의 객관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해 설문 구성 및 시산방법 등에 대한 세부 검토와, 분야별 중요도를 고려한 가중치 검토가 필요함을 제안함. 아울러 고용의 질에 대한 신뢰성 있는 지표 생산과 국가 간 비교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 기존 ILO, UNECE 등의 지표와 차별화되어야 하고, ▲ 국가마다 임금근로와 비임금근로 구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측정 범위를 “임금근로자”와 “전체 취업자”로 구분하여 작성하거나 또는 “임금근로자”로 한정할 필요가 있으며, ▲ 관련 DB 구축시 국가 간 비교지표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즉 각 국가에서 해당 공식통계를 직접 제공받는 방법 등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피력함
- 캐나다는 현재 진행 중인 OECD의 활동을 지지하면서, 필요한 경우 캐나다의 관련 마이크로데이타 공유 의사를 밝힘
- 핀란드는 다양한 국제기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유사 프로젝트간의 조율을 통해 업무 중복을 최소화시키고, 동 프로젝트의 목표가 국가 간 고용의 질을 순위화하는데 국한되지 않기를 요청함

o [포용적 성장 이니셔티브] 위원회는 보건, 일자리, 교육 등 비소득 요인을 포함한 웰빙의 핵심 차원(dimensions)들에 미치는 정책적 효과를 계량화하기 위해 OECD가 추진 중인 포용적 성장 분석 프레임워크에 대하여 논의함
- 19개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교육 차원을 반영한 다차원 생활수준 기준의 지니계수 비교 분석을 통해, 비소득 차원에 존재하는 불평등 측정이 가능함을 시사하고, 국가의 상황에 맞는 비소득 차원 개발 제안 및 각 회원국이 동 분석 프레임워크를 sub-national level로 확대하여 적용할 것을 촉구함
- 우리 대표단장은 평가에 사용된 잠재가격과 관련하여 다양한 삶의 만족도 자료를 이용한 계수 및 추정치의 강건성 검증 실시에 찬성하고, 금번 분석에 사용된 교육수준별 기대수명 자료의 경우, 체계적 데이터 구축이 미비한 국가들이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향후 자료보완 및 공식통계 활용의 필요성을 피력함
- 미국은 동 다차원적 생활수준과 같은 종합지수(composite index)를 국내수준의 정책결정 과정에 활용하는 것에 우려를 표명하고 이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함을 강조함
- 프랑스는 동 프레임워크 개발의 업무결과를 공식통계생산 단계로 발전시키는 것은 아직은 시기상조이므로 지속적인 연구 활동을 제안함
- 한편 덴마크는 동 프레임워크 개발 성과를 환영하고 동 프레임워크 변수를 고령층 및 유년층의 웰빙, 연금 등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시켜 확대할 것을 요청함

o [교육 부문 대규모 조사] OECD 교육국은 삶 및 직장에서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능력과, 동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방법, 장기적 전략 과제, 개발업무 및 일정 등에 대하여 각 조사별 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위원회는 OECD에서 실시하고 있는 PISA, PIACC 등 교육 부문 대규모 조사 간의 일관성 유지를 위한 전략적 이슈를 검토함
- 핀란드는 PISA(교육) 및 PIACC(인적자원) 응답자의 패널데이타에서 개인 식별 인자를 활용하여, 교육이 노동시장 및 인적자원의 기술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제안함
- 미국과 호주는 교육 관련 주제의 대규모 조사들간 일관성 유지도 중요하지만, 동 노력의 효과에 대한 비용분석(Cost-Benefit analyses)이 필요함을 강조함
- 한편 영국은 PISA 및 PIACC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교육이 생산성 및 경제성장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조사 설계 단계부터 고려할 것을 요청함

2. 한국 대표단 활동

o [통계 생산 및 서비스의 현대화를 위한 고위급그룹(HLG) 회의 참가] 유럽경제사회이사회 산하 HLG* 회의(6.17)에서 대표단장은 지난 회의(3.1, 뉴욕) 결과의 후속 추진 현황을 보고받고, MOU(안) 최종 검토 및 향후 재정전략 등에 대하여 논의함
* 유로스탯, OECD, 한국, 네덜란드, 호주, 캐나다, 아일랜드, 슬로베니아, 이탈리아, 뉴질랜드

o [국제노동기구(ILO) 통계국장(Rafael Diez de Medina) 협력회의] 양측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정책수요와 통계생산과의 괴리를 해소하고, 아태지역 노동력 이동의 자료수집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아시아 지역의 국제인구이동통계” 프로젝트 공동 수행 MOU를 체결함(6.17.)

o [UN 통계처장(Stefan Schweinfest)과 국제회의 개최 관련 협의] 금년도 한국 통계청과 유엔통계처가 공동으로 개최 예정인 “글로벌 어젠다 국제세미나*(9.16~17, 서울)”의 초청연사, 프로그램 의제, 초청장 발송 프로세스 등을 논의함
* Post-2015 개발 어젠다 지표 수립 및 이행

※ 작성 : 김태정 주재관(원소속:한국은행), tjkim@bok.or.kr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