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주요논의

외교정책

제104차 OECD 산업 및 기업환경위원회(CIBE) 개최 결과

부서명
작성일
2003-10-06
조회수
1048

1. 제104차 OECD 산업 및 기업환경위원회(CIBE)가 2003.9.29-30간 OECD/IEA 본부에서 개최되어 ① 경제성장과 생산성을 위한 미시경제정책 ② 벤처 캐피탈에 관한 국별 검토 및 종합보고서 ③ 기업가정신 관련 주요 현안과 향후 과제 ④ 서비스 경제(the Service Economy)에 관한 작업계획 등에 관해 논의하였음.

 

2. 주요 논의 내용

 

 가. 성장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미시정책: 정책 벤치마킹

 

   ㅇ 사무국은 그 동안 추진해 온 4개 분야(기업가정신, 혁신, ICT, 인적 자본)에 대한 정책 벤치마킹 추진상황을 보고하면서 전체적인 종합보고서 초안이 2004년 3월 제출되고, 이에 대한 추가 논의 및 검토를 거쳐 2005년 각료회의시 최종 보고될 예정임을 설명

    - 분야별 동료점검(peer review)에 대한 종합보고서도 2004년 말 또는 2005년초까지는 작성

 

  1) ICT의 편익 확보(Seizing the benefits of ICT)

 

   ㅇ 사무국은 보고서를 통해 ICT 관련 성과지표가 상위수준인 6개국 (미국, 캐나다, 호주, 핀란드, 네덜란드, 스웨덴)에 대한 정책 벤치마킹 결과를 발표함.  

    - 동 보고서는 ICT 정책 현안을 ① ICT에 대한 접근보장, ② ICT 기술과 ICT  관련 조직변화의 촉진, ③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 ④ On-line 보안과 신뢰증진 등 4개 부문으로 나누어 평가

    - 동 보고서를 통해 사무국은 상기 6개 국가들은 ① 학교 교육을  통한 기초 및 응용 ICT 기술의 보급 및 촉진 ② ICT 공급의 촉진(지역통신시장의 자유화, ICT 기반 및 네트워크간의 경쟁 촉진, 민·관 공동연구 등을 통한 ICT 연구개발 촉진 등) ③ 전자정부(e-government)의 구축 등의 정책을  공통적으로 활용  하고 있음을 지적

    - 이에 대해 미국, 핀란드 등 조사대상국가로부터 간단한 보충 설명이 이어진 바, 핀란드는 어린이들의 ICT 기술 향상을 위해 교사들에 대한 ICT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하였고, 미국은 e-government의 실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법률체제를 포괄할 수 있는 표준개발 및 발전이 중요한 과제임을 지적함.

 

   ㅇ 주요 토론내용

    - 미국은 ICT의 활용에 따른 편익을 생산성 향상과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네트워킹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있는 현실을 감안,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구조적 요인과 함께, 세계화에 따른 생산공정(production process)상 국제적 분업 추  세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 영국은 경제적 환경의 변화  및 국가별 여건 차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의 기준으로 사용된 지표들의 지속적인 개선 및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함.

    - 캐나다는 동 보고서가 각국의 ICT 관련정책이 해당국가의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언급이 부족하다고 비판함.  

 

  2) 기술혁신 및 확산의 촉진(Fostering Innovation and Technology Diffusion :    A Strategic View)

 

   ㅇ 사무국은 6개 연구대상 국가(오스트리아, 핀란드, 일본, 네덜란드, 스웨덴,  영국)에서 혁신과 기술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해 활용하고 있는 정책수단에 대한 분석내용을 보고함.

    - 사무국은 동 보고서가 아직은 예비적인(Preliminary) 단계에 있음을 설명하면서,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① 산-학간의 관계와 공공-민간간 파트너쉽, ②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창업, 개발 및 성장 촉진을 위한 정책, ③ 혁신정책의 관리 및 조정 등의 정책 영역에 대해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함.

 

   ㅇ 주요 토의 내용

    - 일부 국가는 혁신의 다양한 성격들을 함께 고려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특화된 정책제안들을 제시해 줄 것을 주문한 반면(노르웨이), 덴마크는 국가간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개괄적인 정책방향이 포함되기를 희망함.

    - 미국은 혁신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혁신의 형태 및 효과에 있어서의 다양성을 고려되어야 하며, 또한 혁신과 관련하여 발견(discovery)과 실행(implementation)간 시간적 격차(time lag)가 갖는 의미 또한 연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3) 인적 자본의 확충과 잠재력의 실현

   

   ㅇ 사무국은 5개 연구대상국가(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스웨덴, 미국)에 대한 정책 벤치마킹 결과를 보고함.

    - 보고서는 관련 정책을 ①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촉진, ② 작업장에서의 평생교육과 훈련 강화, ③ 지식기반 노동시장의 향상 등으로 구분하고, 특히 노동시장에서의 고급, 숙련노동자(skilled workers) 공급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동 보고서에 의하면 상기 5개 국가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① 미래 숙련노동 시장에 대한 분석 및 예측 ② 기업에 의한 노동자 훈련 확대를 위한 동기부여 방안, ③ 유연한 labour practices의 도입(노동시장의 유연성,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법적 안전장치 등) 등과 같은 부문이 중요한 정책으로 제기되고 있음을 지적함.

 

   ㅇ 주요 토의 내용

    - 덴마크는 동 보고서가 아직 추상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하고, 특히 ICT 분야에서는 어느 수준의 인력을 얼마나 공급해야 하는지에 대한 제언 등 구체적인 정책적 제언을 해주기를 요청함.

    -   미국은 고급인력 노동시장의 성격을 볼 때, 공급은 교육 등 장기적인 성격을   지니는 반면, 노동의 수요는 단기적이며 경기변동에 따른 변동폭도 심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수요와 공급간 괴리 문제에 대한 정책대응 내용이  연구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제안함.  

 

   ㅇ 사무국은 동 분야에 대한 동료점검(peer review)을 "혁신과 성장을 위한 고급인력(highly-qualified personnels for innovation and growth)"을 주제로   이루어질 것임을 설명하면서, 회원국의 자발적인 참여를 요청함.

    - ① 고급인력의 부족문제, ② 숙련노동자들에 대한 기업의 투자 촉진문제, ③ 과학기술분야에서 인적자원의 개발문제, ④ 고숙련 노동자와 직업간의 matching 및 mobility 향상 문제, ⑤ 충분한 자격요건을 갖춘 여성인력(highly-qualified females)의 노동력 참가 문제 등이 주요 내용이 될 것이라고 추가적으로 설명

    - 이에 대해 캐나다, 벨기에, 독일이 peer review에 참여할 의향을 밝혔으며, 일본 또한 참여를 위해 본국과 협의할 뜻을 밝혔음.

 

 나. 벤처 캐피탈에 관한 국별 검토 및 종합보고서

 

  1) 국별 검토

 

   ㅇ 사무국은 노르웨이, 스페인, 포르트갈에 대한 국가별 검토(peer review) 결과를 보고함.

    - 이로써 당초 계획대로 총 10개 국가에 대한 peer review를 마치게 되었으며, 벤처 캐피탈의 경향과 정책에 관한 종합보고서 초안을 작성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설명함.

 

   ㅇ 노르웨이

    - 보험회사에 대한 투자제한 조치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이의 개선을 위해 연금을 포함한 민간 또는 공공 투자기관에 대한 투자 제한 조치를 수정할 것을 권고.

    - 이에 대해 노르웨이는 기본적으로 VC에 대한 투자제한 완화에는 동의하나, 연금기금 등 여타 자본을 VC에 대한 투자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는  자국의 경제적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 탕으로 해야 하므로 구체적인 검토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임   

 

   ㅇ 스페인

    - 스페인 VC 분야는 OECD 국가중 상대적으로 제일 낮은 수준이나, 최근   세계경제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VC분야의 급속한 성장과 높은 수준의 투자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사무국은 2000년 4월에 개장한 기술기반 벤처회사(technology-based start-ups)들을 위한 Nuevo Mercado가 시장의 경기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유럽시장에의 참가를 통해 보다 큰 규모의 제2 주식시장(second-tier stock market)을 창출 할 것을 권고함.

    - 이에 대해 스페인은 사무국이 권고한 정책적 제안에 기본적으로 동의하나, 유럽시장에의 참가 여부는 전적으로 EU의 정책에 관한 문제임을 지적함. 또한, 캐나다는 주식시장의 통합(consolidation) 뿐만 아니라 특화(Specialization) 또한 필요함을 강조함.

 

   ㅇ 포르투갈

    - 사무국은 포르투갈의 벤처 캐피탈 시장 역시 OECD 국가 중 매우 낮은   규모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면서

    - VC의 활성화를 위해 ①정부의 관련 프로그램 숫자의 축소 및 간소화, ② 민간부문의 벤처 투자 활성화 ③ 국가적 규모의 엔젤 네트워크 창출과   민간 펀드와의 연결 촉진 ④ 유럽의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한 제 2 주식시장 창설 등을 권고함.

    - 이에 대해 포르투갈은 포르투갈의 작은 시장규모가 기본적인 문제라고 설명하면서, 정부의 프로그램이 민간부문의 벤처캐피탈을 구축(crowd out)한다고는 생각지 않으며, 오히려 심각한 문제는 국제적인 투자자들을 유인할 전문가의 부족이라고 지적함.

 

  2) 종합보고서 초안: 벤처 캐피탈관련 경향과 정책

 

   ㅇ 사무국 보고에 의하면, OECD 국가들의 벤처캐피탈은 다음과 같은 일정한 경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 High-tech 산업에 집중되고 지역적인 집중(regional clustering)의 경향이 강함

    - 펀드의 원천(source)은 국가별로 매우 상이한 양상을 보여, 미국, 호주, 캐나다 등은 연금기금(pension fund)이 주요원천인 반면, 한국, 일본, 독일 등은   은행과 보험회사가 주된 자금원

    - 국제적인 벤처투자의 흐름은 일부 예외적인 국가를 제외하고 꾸준히 증가

 

   ㅇ 사무국은 각국 정부가 투자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가와 엔젤투자자의 자본이득세(capital gain tax)를 완화하여 자금원(sources of funds)의 다양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면서 다음과 같은 실천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함.

    - 비즈니스 엔젤에 대한 종합적 서비스의 지원과 지역·지방간 네트워크 강화

    - 정부기금의 보다 유연한 벤처 투자 및 전문 펀드 메니저의 양성

    - 각종 세제 혜택 및 시장규모의 확대를 위한 국제 투자의 활성화

    - 퇴출메카니즘의 정립

 

   ㅇ 사무국은 또한, 추가적으로 ① 소규모 기업에 있어서 funding gap의 문제점, ② 정부 주식시장정책의 역할, ③ 국제화가 벤처캐피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의 이슈가 추가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함.

 

   ㅇ 참고로, CIBE 의장은 벤처캐피탈과 관련하여 논의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위 보고서가 배포될 즈음 벤처캐피탈계의 전문가들과 포럼을 개최할 계획임을 알림.

 

 다. 기업가 정신

 

  1) 주요 현안과 향후 과제

 

   ㅇ 사무국은 보고를 통해 Growth project의 일환으로 기업가 정신을 연구함에  있어 ① 자금원에 대한 용이한 접근, ②기업의 시장진입과 퇴출의 촉진, ③정부 지원 프로그램의 효율성 제고, ④ 사회전체의 기업가정신 고취 등을 성장의 주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였음을 강조함

 

   ㅇ 사무국은 기업가정신과 관련한 연구가 현재 Peer reviews를 마친 상태이며, 핀란드 워크샵 등을 통해 벤치마킹 프로젝트 결과의 재검토를 진행하고, OECD의 Working party on Statistics를 중심으로 정책지표 및 통계적 실증분석을 진행시킬 계획에 있음을 보고함.

    - 또한, 향후 기업의 퇴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제도적 연구로서 기업의   파산제도와 재기의 기회를 주는 제도적 방안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보고함

 

 2) 유럽국가들에 있어서의 기업 Dynamism 분석

 

   ㅇ 사무국은 기업가정신 분야와 관련 9개의 유럽국가들을 선정하여 기업들의 시장진입과 퇴출 현황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를 보고함.

    - 동 보고서에 의하면, 대상국가들의 경우 평균 15~20%의 회사진출입(firm turnover)이 있고, 시장에서의 진입과 퇴출이 산업간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 또한, 약 20-40%의 기업이 첫 2년안에 퇴출되며, 일단 시장에서 살아남은 기업은 빠른 속도로 성장함.

    - 동 보고서는 회사의 turnover가 혁신과 생산성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엄격한 정부규제나 정책들이 시장진입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함.

 

   ㅇ 주요 토의내용

    - 미국은 특정국가의 Business Dynamics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국제화 추세에 따른 전체 공급체계(supply chain)의 변화를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고 주장함. 또한, 동 보고서가 기업간 또는 업종간의 서로 다른 특징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함.

    - 호주는 정부의 정책변화 등 외부환경의 변화가 기업의 시장진입과 퇴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필요성을 제기하고, 캐나다는 기업의 원활한 퇴출을 돕기 위해 파산제도(bankruptcy)의 정비 및 개선이 중요함을 지적함.

 

   ㅇ 각국은 동 보고서가 아직은 완성 단계에 있지 않음을 인식하고 2004년 차기 회의에 보다 자세하고 구체적인 정책 수단들이 보완되기를 요청함.  

 

 라. 서비스 경제(the Service Economy): 경향과 현안

 

   ㅇ 사무국은 서비스경제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발표하면서 동 프로젝트가 2003년 각료회의시 일본의 제안에 대한 후속조치로서 추진중이고 2005년 각료회의시 동 결과가 보고될 예정임을 설명

    - 동 프로젝트는 2003년 3/4분기부터 2004년 1사분기까지 진행될예정이며, ① 서비스 산업의 현황 및 경향분석, ②서비스 부문의 성장촉진 요인, ③ 과학기술과 혁신, 기업가정신 촉진 정책 등이 서비스부문에 미치는 영향 등이 주요 내용이 될 예정임을 보고

    - 아울러, 동 프로젝트가 OECD내 수평협력 프로젝트로 추진될 예정인 바, CIBE(서비스 경제의 중요성 및 성과의 비교, 서비스와 제조업간의 상호작용, 다국적기업과 서비스산업간의 관계 등), 정보통신위(ICT가 서비스 산업에 미치는 영향), 경제국(무역자유화가 서비스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서 담당할 예정이라고 설명

 

   ㅇ 사무국은 동 프로젝트 관련 예산의 2/3 정도가 일본의 자발적 기여금에   의해 충당될 예정임을 설명하면서 여타 회원국의 추가적인 자발적 기여를 요청함.    

 

   ㅇ 모든 회원국들은 동 프로젝트의 중요성과 의의에 동의하고 지지를 표명하였음.

    - 특히, 독일과 네덜란드는 서비스부문과 제조업간의 상관관계를 깊이 있게 연구하여 주기를 주문하였고, 미국은 `서비스경제'에 교육, 보건 등 공공서비스의 포함할 지에 대해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