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주요논의

외교정책

OECD 동향속보(제15호):OECD 회원국 현행 농업지지정책의 문제점

부서명
작성일
2003-01-24
조회수
872

*OECD 동향속보(제15호) : 2003.1.21발간

 

제목 : OECD 회원국 현행 농업지지정책의 문제점

               - 농가소득 문제 해결에 한계 -

 

1.  주요 동향

 

    ㅇ  OECD 회원국은 시장가격지지(market price support)·생산량을 기본으로 한 직접지불제 등 생산정도에 따른 지원정책을 주로 실행해 왔음

 

    ㅇ  그 결과 대부분의 보조가 수확량이 높은 농민들에게 집중되어 저소득 농가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대·소농가 사이의 소득격차를 심화시킴

        -   경영규모 기준 상위 25% 농가가 전체 농가수입의 60-90%를 차지

 

    ㅇ  오히려 생산과 격리된 지급(decoupled payments)이 시장가격지지보다 농가소득 보조에 훨씬 효율적이나, 이 경우에도 농가에 실질적으로 돌아가는 혜택은 보조대비 절반수준에 불과

        -   시장가격지지의 경우 지원액의 25%, 경작면적기준 직접지불의 경우 지원액의 50%만 농가수입으로 돌아가고, 나머지는 농지소유자·농자재 공급자 등에게 귀착되거나 경제적 손실로 낭비됨

 

    ㅇ  OECD는 농가저소득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률적인 지지정책 보다는 농가 저소득 원인에 대응하는 목표지향적 정책조치 (targeted policy measures)가 필요하다는 권고를 하고 있음

        -   농산물 시장기능 개선, 생산자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하부구조·훈련·연구개발 등에 대한 투자 및 농촌개발 정책

        -   사회정책적 수단(social policy measure) 활용과 가격변동 등 위험요소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안전망(social safety net) 정책

        -   농업활동과 연계되지 않는 직접 소득지원(direct income payment)을 통해 필요로 하는 농가에 지원

 

2.  시사점

 

    ㅇ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농가가 3ha미만의 영세농이고 도·농간소득격차가 크기 때문에 대농·소농사이에 불균형이 심하고 농가소득이 높은 다른 OECD 회원국들과 정책환경이 크게 다름

 

    ㅇ  그러나, 농가 저소득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우리나라에 맞는 농가대상별 맞춤형 소득정책, 농외소득증가 및 농촌고용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 등을 시행하고,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직접지불로의 전환 등 추가적 정책개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됨

 

3.  참고자료

 

    ㅇ  2003년 1월 발간예정『Farmhousehold Income Issues in OECD Countries: a Synthesis Report』(OLIS 번호: AGR/CA/APM (2002)11/FINAL)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