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주요논의

외교정책

OECD 동향속보(제14호):IEA 기후변화 정책 연감 발표

부서명
작성일
2002-12-05
조회수
844

*OECD 동향속보(제14호) : 2002.12.2발간

 

제목 :  IEA 기후변화 정책 연감 발표

           -IEA 회원국의 정책과 조치-

 

1. 배경 및 현황

   

    ※  2000년부터 매년 발간되는 이 연감은 국제에너지기구(IEA) 회원국의 기후변화 정책과 조치사항을 종합분석

        -   우리나라는 2001년에 IEA에 가입하였으나, 본 보고서에 우리나라 관련 정책과 조치사항은 불포함

 

    ㅇ  2001년은 기후변화 정책에서 일대 전환점을 제공함.

        -   미국행정부는 교토의정서 비준을 거부(2002.9월 현재 94개국(Annex I 국가 25개 포함)이 교토의정서 비준)

        -   7월 Bonn COP6와 연말 마라케쉬 COP7에서 교토의정서의 융통성있는 메카니즘(배출권거래, 공동이행, 청정개발체제) 해석과 개도국에 대한 재정적 지원 및 기술이전의 이행방법에 대한 정치적 합의 도달

 

    ㅇ  미국은 기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이나, 미국의 기후변화 협약 탈퇴로 배출권거래와 청정개발체제(CDM) 발전은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   장기적으로는 협약의 효과가 없어질 것으로도 전망

 

2.  정책선택과 추세

  

  가. 기후변화 정책

    ㅇ  재정지원 및 규제 : 조세면제, 신용, 보조금, 인센티브 부여 등의 재정지원과 명령, 기준, 규정 등의 규제를 실시하는 것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수단

 

    ㅇ  자발적 합의 : 정부와 에너지 집약산업의 기업가간 협조를 도모하는 정책. 아직 작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태평양, 북미지역에서 증가 추세

    ㅇ  배출권 거래(Trading Emission) : 향후 국내/국제적인 시장수단으로 중심적 역할 기대. 2001년 이 정책을 채택, 계획하고 있는 나라는 13개국으로서 2000년의 2배로 증가. 현재 EU가 이를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2005년에는 실제거래가 이루어질 전망

 

  나. 교통부문 정책

 

    ㅇ  지난 지표를 보면 연료가격을 10% 올리면 1-3%만이 교통수요가 감소하며, 유럽과 일본은 이미 연료에 대한 조세부담이 무거워 재정수단을 사용하기가 곤란

        -   특히 도로, 철도 건설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이 부문에서 택할 수 있는 정책은 거의 전무

 

    ㅇ  IEA는 ① 운송수단의 기술변화를 통한 연료절약, ② 주행중 연료 효율성 향상, ③ 운송수단의 양을 줄이기 위한 대책 등 3가지 정책방안을 제시

 

  다. 재생에너지 활용정책

    ㅇ  기술 개발지원, 시장 개발을 위한 자본 보조, 가격 개입, 목표설정, 재생에너지 증명 거래제도, 조세 조치, 환경적 프로그램, 규제개혁, 정책조치 등

 

3. 시사점

 

    ㅇ  선진국은 개도국의 참여없이는 실질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없다고 인식하고 개도국의 신규부담, 온실가스 배출 정책 및 조치 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는 바, 우리는 선진국에서 채택하고 있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정책 및 조치사항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우리 산업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비해 나가야 할 것임.

 

4. 참고자료

 

    ㅇ  Dealing with Climate Change:Policies and Measures in IEA Member Countries(2002, IEA).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