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주요논의

외교정책

제78차 OECD 철강위원회 결과

부서명
외교부 > 다자경제외교국 > G20‧경제기구과
작성일
2015-05-21
조회수
1152

(출처 : 주오이시디대표부)

 OECD, 철강산업 수급현황과 혁신방안 논의

뉴포커스의 메뉴에서 제목이 OECD, 철강산업 수급현황과 혁신방안 논의에 관한 페이지입니다.

◈ OECD는 2015.5.11-12일(2일)간 OECD본부(파리)에서 철강위원회를 개최하고, 세계 경기침체와 설비증강에 따른 초과공급 등을 포함한 철강산업 수급현황과 에너지절약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혁신방안 등에 대하여 논의함

※ 제 78차 OECD 철강위원회(Steel Committee)

1. 세계 철강산업 동향 및 전망

□ 2014년 세계 철강 생산은 전년대비 1% 증가에 그쳤음.

ㅇ 이는 세계 철강생산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중국의 철강생산 증가율이 감소한 것에 따른 것에 기인함. (중국의 13년과 14년 철강생산 증가율은 각각 전년대비 12.4%, 0.1%)

ㅇ 2014년 철강 생산에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인 지역은 중동으로 7.6%증가 하였으며, 특히 우크라이나는 17.1%나 증가하였음.

□ 2015년 철강수요는 전년대비 증가율은 0.5%, 16년에는 전년대비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세계 경기 침체에 따른 중국, 신흥국, 선진국 등 세계적인 철강수요의 둔화로 철강수요는 당분간 저성장 추세를 이어갈 전망.

ㅇ 2015년 국가별 철강수요 전망을 보면 중국, NAFTA, 중남미 등은 각각 전년대비 0.5%, 0.9%, 3.4% 감소할 것으로 예측함.

ㅇ 2013년 중국정부는 중국의 조강생산 능력을 17년까지 8천만톤을 줄이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제대로 지켜질지는 불투명한 상황임.

2. 지역별 철강산업 동향 논의

□ EU, 터키, NAFTA, 중남미, 콜롬비아, 한국 등지에서 각국의 최근 철강산업 동향에 대해 논의함

ㅇ 중국의 조강생산은 6.6%의 안정적 성장단계(1977~1998년)를 지나 연평균 16.6%의 고성장단계(2000~2013년) 이후 2014년에 정점(Peak point)에 도달함.
- 철강가격의 지속적인 하락(14년 전년대비 17% 감소)에 따른 저수익으로 철강업계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음.
- 또한 14년 중국의 수출은 전년대비 50% 증가한데 반해 수입은 단지 2.4% 증가에 그치고 있다고 밝힘.

ㅇ 중국은 핵발전소, 풍력발전소 등 철강제품 수요분야 육성을 통해 철강수요 증가 유도, 이산화탄소 감축, 에너지효율 증가 등 환경목표 달성을 위해 노후화된 설비 폐쇠, 조강능력 축소 노력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힘

3. 철강산업 과다 설비에 대한 논의

□ OECD는 지난 77차 철강위원회에서 철강산업의 과다설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위해 신증설 설비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관련 DB를 구축하기로 함

ㅇ OECD사무국은 주요국가의 신증설 설비에 대한 프로젝트별 1차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정부 지원여부에 대한 협의를 진행함

ㅇ 금번 회의 결과를 토대로 OECD 사무국은 신증설 설비에 대한 모리터링 및 DB 구축사업을 지속 추진하기로 함

4. 무역구제 조치 현황

□ 2014년부터 2015년 1분기까지 철강분야에서 무역규제 조사는 21건(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등), 반덤핑/상계관세 판정은 5건(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세이프가드는 7건(콜롬비아, 이집트, 인도 등)이 발생하였음.

□ OECD는 무역마찰 증가는 기업에 대한 보조금 등 불합리한 정부지원이 주요한 원인이며 향후 공정한 철강시장 형성을 위해 국영기업, 정부의 영향에 있는 기업 등이 세계철강시장의 경쟁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에 대해 계속 논의해나가기로함.

5. 기타 논의

□ 차기 회의(79차)는 프랑스 파리에서 11월30일~12월1일에 개최될 예정임.

※ 작성: 전응길 참사관(원소속: 산업통상자원부), eungkil@mofa.go.kr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