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튀르키예] 2023년 주요 경제지표 실적 ​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4-05-03
조회수
137



(정보제공 : 주튀르키예대사관)



2023년 주요 경제지표 실적



경제성장


❑ (동향) 2023년 연간 GDP성장률은 4.5%로 2022년 성장률 5.5%보다 감소(2023.4분기 성장률은 4.0% 기록)


   ※ 최근 연간 GDP 성장률(전년대비)

      

구분

‘17

‘18

‘19

‘20

‘21

‘22

‘23

GDP성장률(%)

7.5

3.0

0.9

1.9

11.4

5.5

4.5


   ※ 최근 분기별 GDP 성장률(전년동기대비)

      

구분(분기)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

GDP성장률(%)

7.8

7.6

4.1

3.3

4.0

3.9

6.1

4.0

 


  ㅇ 2023년 GDP 총액은 1조1천억불, 1인당 GDP는 13,110불을 기록


   ※ 2022년 GDP 총액은 9,055억불, 1인당 GDP는 10,655불을 기록

 

 ㅇ 민간 가계 소비 지출은 2022년 19%에서 2023년 12.8%로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GDP 성장률에 기여 


  ㅇ 2023.2월 대지진 이후, 정부 지출은 2022년 4.2%에서 2023년 5.2%로, 투자 지출은 2022년 1.3%에서 2023년 8.9%로 증가


  ㅇ 2023년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금융보험 9.0%, 건설 7.8%, 서비스 6.4%, 부동산 2.7%, 제조 1.6% 등의 순임


❑ (평가 및 전망) 작년 연간 성장률은 OECD 회원국 평균 1.6%를 초과한 4.5% 기록하였으며, 1인당 GDP도 2022년부터 1만불을 상회하고 있음


  ㅇ 코로나 이후 회복세를 보였던 2021년 성장률 11.4% 보다 둔화된 모습(2022년 5.5%, 2023년 4.5%)을 보이고 있으나, 4%를 상회하고 있음


  ㅇ 주재국 정부가 2023.10월 발표한 대통령실 연간 프로그램에 따르면 2024년 성장률은 4.0%, 1인당 GDP는 12,875불 전망


   ※ 주재국은 2024-2026 중기계획상 GDP 성장률 전망은‘24년 4.0%,‘25년 4.5%, ‘26년 5.0%


  ㅇ‘24년,‘25년 주재국 GDP성장률 전망에 대해 OECD는 각각 2.9%, 3.1%, 세계은행은 3.1%, 3.9%, IMF는 3.1%, 3.2%로 전망



 물가


❑ (동향)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2022.10월 최고치 85.51%을 기록한 이후, 상승폭이 완화되는 추세속에 2023.6월 38.21%까지 하락하였다가 7월부터 다시 상승세로 전환하여 2024.12월 64.77%을 기록


   ※ 최근 인플레이션 추이

   

구분(월)

‘22.3

‘22.10

‘23.1

‘23.6

‘23.7

‘23.8

‘23.11

‘23.12

물가

상승률(%)

61.14

85.51

57.68

38.21

47.83

58.94

61.98

64.77


  ㅇ 주로 식당 및 호텔(93.24%), 교육(82.06%), 보건(79.59%) 등 부문에서 소비자 물가상승을 견인


    ※‘23.12월 이스탄불 지역의 인플레이션은 74.88%로 의류(111.76%), 보건(95.11%), 문화 및 교육(85.73%) 등 부문에서 물가상승을 견인


❑ (평가 및 전망) 작년 하반기부터 다시 상승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은‘24.1월 64.86%, 2월 67.07%을 기록하였으며, 당분간 동 추세 유지 전망


    ※ 인플레이션 민간 조사단체(ENAG)는 2월 인플레이션을 121.98%(1월 129.11%)으로 발표


  ㅇ 주재국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의 상승 추세속에 리라화의 상업 대출 규모 증가 한도를 2.5%에서 2%로, 소비자 대출 규모 증가 한도를 3%에서 2%로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하고 있음


  ㅇ 주재국은 2024-2026 중기계획에서 2024년 33.0%, 2025년 15.2%, 2026년 8.5% 전망하는 가운데, 최근 부통령, 재무부 장관 등은 기저효과와 통화 정책 적용 효과의 시간 적용 등으로 인해 연간 인플레이션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고 6월이후 감소할 것이라고 언급






 금리


❑ (동향) 중앙은행은 2023.5월 대선까지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다가, 대선 이후 6월부터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여‘23.12월 42.5%까지 인상


   ※ 금리 추이 : (‘22.12) 9% → (‘23.1) 9%  (‘23.6) 15%  → (‘23.7) 17.5%  → (‘23.8) 25%  → (‘23.9) 30% → (‘23.12) 42.5%   


❑ (평가 및 전망) 고인플레이션, 통화긴축 방향에 따라 중앙은행은‘24.1월 45%로 인상하고, 2월은 45%로 유지하다가 3월 50%로 추가 인상


  ㅇ 월간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고,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중기재정전략 위에 수렴할 때 현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인플레이션 상승 등의 상황에 따라 금리 추가 인상 등 전망


  ㅇ 한편, 투자자 관점에서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에게 아직까지는 (-)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존재



 환율


❑ (동향) 리라화는‘22.12월말 대비‘23.12월말까지 달러당 57.23%(29.45리라), 유로당 64.44%(32.75리라) 상승


   ※ 리라화(TL) 환율(중앙은행)

     

구분

‘22.12

‘23.12

전년대비 증가율

달러당

18.7303

29.4502

57.23%

유로당

19.9175

32.7526

64.44%


❑ (평가 및 전망) 환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며,‘24.3.21기준, 달러당 리라는 32.3876, 유로당 리라는 35.1452로 상승된 바, 향후에도 지속적인 환율 상승이 전망됨


   ※ 주재국 중기계획에서 리라화, 달러로 제시한 총GDP를 통해 연도별 적용 환율은 ‘24년 36.78,‘25년 43.94,‘26년 47.8로 전망   



고용


❑ (동향)‘23.12월 고용률은 48.8%로 전년동기 48.1%대비 소폭 상승하였으며, 실업률은 8.8%로 전년동기 10.3%보다 하락


   ※ 고용 동향

     

구분

‘22.12월

‘23.12월

고용률

48.1%

48.8%

실업률

10.3%

8.8%

고용인원(천명)

31,340

32,056

실업자수(천명)

3,581

3,098

노동력(천명)

34,921

35,154


 (평가 및 전망)‘23.12월 고용률은 전년대비 상승, 실업률은 감소함. 실업률이 1자릿수로 유지되고 있으나, OECD 평균 실업률 4.9%보다는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ㅇ‘24.1월 실업률은 9.8%을 기록(OECD 평균 실업률 4.8%)하였으며, 주재국 중기목표(전망)에 따라 1자릿수 유지를 위해 노력할 것으로 전망


   ※ 주재국 2024-2026 중기계획에서 제시된 고용률, 실업률 전망

      

구분

2023

2024

2025

2026

고용률(%)

48.3

48.8

49.5

50.4

실업률(%)

10.1

10.3

9.9

9.3



 국제무역 등


❑ (동향)‘23년 전체 대외교역량은 6,176억불, 무역적자는 1,060억불을 기록한 가운데, 무역적자 규모는 전년대비 소폭 감소함. 수출은 2,558억불로 전년대비 0.6% 증가한 반면, 수입은 3,618억불로 전년대비 0.5% 감소


                                                                 (단위:억불) 

    

구분

‘22.1∼12

‘23.1∼12

증감

수출

2,542

2,558

0.6%

수입

3,637

3,618

-0.5%

무역수지

-1,095

-1,060

-3.2%

대외교역량

6,179

6,176

-0.1%


  ㅇ‘23년 주재국의 주요 수출국은 독일(8.2%), 미국(5.8%), 이라크(5.0%), 영국(4.9%), 이탈리아(4.8%)이며, 주요 수입국은 러시아(12.6%), 중국(12.4%), 독일(7.9%), 미국(5.5%), 이탈리아(4.4%) 임


   ※‘23년은 UAE와의 교역이 크게 증가한 바, 대UAE 수출은 86억불(전년대비 64% 증가), 수입은 115억불(전년대비 158% 증가)


   ※ 대한국 수입 비중은 2.6%(10번째)이며, 전년대비 5.3% 증가한 95억불을 기록(대한국 수출은 10억불 기록) <주재국 통계청 자료 기준>


  ㅇ‘23년 중앙정부 재정지수는 작년 2월 대지진의 여파로 지출 6조 5,855억 리라, 수입 5조 2,105억 리라, –1조3,750억 리라 적자 기록


   ※ GDP대비 적자 비율은‘03년 이후 최고치인 5.4%을 기록(‘22년은 1%). 심쉐크 재무장관의 언급에 따르면, 지진 관련 지출은 9,500억 리라로 GDP의 3.7%를 차지하였으며, 이런 일시적 지출을 제외하면 GDP대비 적자 비율은 1.7%


   ※ 특소세, 수입 및 국내VAT 등의 인상으로 수입도 증가하였지만, 지진으로 인해 지출이 전년대비 크게 증가


   ※ 재정지수

                                                               (단위:억리라) 

     

구분

‘22.1∼12

‘23.1∼12

증감

지출

2조9,427

6조5,855

123.8%

수입

2조8,001

5조2,105

86.1%

지수

-1,427

-1조3,750

863.5%


  ㅇ‘23년 경상수지 적자는 –451억불로 전년 -491억불 대비 8% 감소


  ㅇ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은‘22년 70억불에서‘23년 56억불*로 감소한 반면, 주재국 국민(기업)의 해외투자 유출은‘22년 49억불에서‘23년 57억불로 증가 


   ※ FDI는 주로 제조, 도소매, 금융보험, 전기가스 공급 등의 순임


   ※ 최근 FDI 추세(유입) : (‘19) 59억불 → (‘20) 58억불 → (‘21) 71억불 → (‘22) 70억불 → (‘23) 56억불


  ㅇ 포트폴리오 투자는‘22년 137억불 유출되었으나,‘23년 83억불 유입 기록



  ㅇ‘23.12월말 기준, 중앙은행의 순외환보유액은 349억불로‘23.5월 대선 이후 증가추세를 기록(스왑 694억불 제외시 –345억불)


   ※ 순외환보유액 추세(스왑 포함) : (‘23.1) 258억불 → (‘23.5) -44억불 → (‘23.9) 206억불→ (‘23.12) 349억불


  ㅇ CDS(Credit Default Swap)은‘23.1월 546에서 5월 대선까지 597로 상승하다가, 선거 이후 하락하여 12월 279를 기록


  ㅇ‘23년 관광수입은 543억불로 전년 465억불에서 16.9% 증가


   ※ 관광수입

                                                            (단위:억불)

    

분기

2022년

2023년

1Q

2Q

3Q

4Q

1Q

2Q

3Q

4Q

관광수입

465

66

105

179

115

543

88

130

203

123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