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이란] 주간 경제동향('24.02.04.-10.)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4-02-13
조회수
149

(정보제공 : 주이란대한민국대사관)



이란 주간 경제동향 (24.02.04. - 02.10.)



1


경제 일반


□ 환율 소폭 하락세(2.11 기준, 1 USD = 556,000)

(출처 : bonbast.com)


□ FT紙, 이란의 영국 은행 계좌를 통한 제재 회피 의혹 보도


   ※ 상기 보도에 대한 이란측 공식 반응 별무


  ㅇ Lloyds 은행 및 Santander 은행이 이란 국영 석유화학상업회사(PCC, 美 제재 대상) 소유 유령회사에 계좌를 제공


  ㅇ 이란측은 동 계좌를 활용하여 중국 내 PCC 소유 유령회사(Black Tulip)등으로 부터 자금을 송금 받았다고 보도


□ 이라크 정부, 8개 상업 은행*의 달러화 거래 금지 조치 발표


    * 아수르(Ahsur) 국제투자은행, 이라크 투자은행, 이라크 연합은행, 쿠르디스탄 국제 이슬람 투자 개발은행, 알 후다(Al Huda)은행, 알 자눕(Al Janoob) 이슬람 투자 금융 은행, 아라비아 이슬람 은행, 함부라비 상업 은행 


  ㅇ 브라이언 넬슨 美 재무부 차관의 이라크 방문 후 발표 / 이라크→이란으로의 불법적 달러 유입 단속의 일환


  ㅇ 상기 8개 상업은행은 이라크 중앙은행의 일일 달러 경매에 참여 불가(달러화 외 여타 외환 거래는 가능) / 상금 이란측 공식 반응 별무


     ※ 이라크는 23.7월에도 이란으로의 달러 밀반입 단속을 위해 14개 상업 은행의 달러화 거래를 금지한 바 있음.


□ 개인간 이체 한도 월 100억 리알로 제한


 ㅇ 국가금융정보위원회 지시로 탈세 방지 강화 목적


   - 약 2만불 규모이며, 이체횟수도 월간 200회 이하로 제한


□ 이라크, 이란산 초콜릿·과자류 수입 중단


 ㅇ 테헤란商議 발표, 자국산 상품 및 업계 보호 이유


   - 이라크는 관련제품의 최대 수출시장


2


산업‧통상 및 에너지


□ 이란, 철강제품 수출 지난해 62억불 기록


 ㅇ 제조업체협회 발표, 철강빔이 전년대비 31% 증가로 수출 견인


   - 15만3천톤 규모, 이라크 등 인근 국가로 대부분 수출


□ 이란의 석유 생산과 수출 증가가 이란 경제 성장에 29% 기여


 ㅇ 기획예산기구가 ISNA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13대 정부 들어 석유 생산과 수출 증가가 이란 경제성장에 29% 기여했고, 석유수출로 인한 국가 재정 수입도 170억달러로 증가


   - 제13대 정부 이후 석유 생산량은 210만배럴/일에서 340만배럴/일로 61% 증가, 석유 수출량은 160만배럴/일로 74% 증가


   - 석유산업의 경제성장 기여도는 이란력 1400년 가을(2021.9~2021.11) 1.7%에서 1402년 여름(2023.6~2023.8) 25.6%로 15배 증가


   - 이란통계센터 자료에 따르면 1402년(2023.3월~2024.3월) 이란 석유산업의 경제성장률은 7.5%. 1400년은 4.3% 기록

 

□ 하우스(greenhouse) 경작으로 연간 생산량 400만톤 도달


 ㅇ 농업부 차관은 이란은 온실 재배를 통해 연간 400만톤의 상품을 생산하고 있다고 발표


  - 원예분야는 정부 계획에 따른 중요한 사업중 하나로 온실 개발을 통해 상품화하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강조


  - 과거에는 온실을 제작할 때 다른 나라에 의존했고, 온실 구조물도 해외에서 수입했으나, 이제는 주변국의 온실 개발을 지원하고 있음.


 ㅇ 작년 7월 농림부는 전국 23,000헥타르의 토지에서 온실경작이 진행되고 있다고 발표


  - 제7차 국가개발계획에 따라 5개년 프로그램으로 150,000헥타르의 새로운 온실이 전국에 설립될 계획


 ㅇ 최근 몇 년간 물 위기로 인해 이란의 농업 부문에 심각한 어려움이 발생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와 관계자들은 관개 프로젝트 실현 및 온실 재배를 포함한 여러 가지 해결책을 강조해 왔음.


  - 이란 농업부의 온실개발프로그램은 농업 무문의 생산성, 효율성 및 물 소비 관리 향상을 목표로 하는 정부의 우선 순위 프로젝트 중 하나


□ 4000대의 수입 자동차는 어디에


 ㅇ 이란 정부가 자동차 수입 허용을 발표한지 17개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수입차는 5,000대를 넘지 못했고, 인도도 1,000대 정도에 그침.


   - 나머지 수입차는 어디에 있고, 왜 인도되지 않는지에 대한 의문이 대중의 마음 속에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


  ㅇ 관세청이 통계에 따르면 올 해 1월말까지 총 4,997대의 승용차가 세관을 통과했고, 최근 신청자들에게 인도된 차량은 1000대에 불과


   - 승용차 5,000여대 수입과 1000대 인도를 고려하면 나머지 4000대의 수입차는 어디에 있는지 의문이 생김.


 ㅇ 자동차가 합법적이고 확실할 경로로 국내에 들어오지 못하는지에 대한 의문에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음.


   - 첫 번째 장애물은 자동차의 ‘표준’관련하여 국립표준기구가 수입업체에 대한 기준을 강화하고 면허 절차를 연장하여 자동차 수입을 막고 있다는 지적이 있음.


   - 두 번째는 수입자동차에 대한 자동차번호판 과정이 40~45일 소요


   - 마지막은 자동차의 대량 수입에 대한 지속적인 반대 분위기임. 자동차 수입을 반대하는 일부 국회의원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1000대당 1~2대의 자동차를 수입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음.


□ 2024년 2월 12일 기준 이란산 원유 가격은 77.77달러, 브렌트유는 81.67달러, WTI 원유는 76.36달러 기록 (※ Data from Oilprice.com)


□ OPEC ‘23.12.23일 기준, 이란 원유 생산량은 314만 배럴/일 기록



3


건설․교통 및 인프라 

  


□ 건축물 디지털 지도 작성 방안 논의


 ㅇ 건설위원회는 국가 건축규정에 의거하여 주요 건축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건축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설계) 기술을 적용한 정보 최신화에 대해 논의


    * 건축물에 대한 디지털 정보를 구축할 경우 위기 상황 및 화재 등 사고 시 건축물 내부 접근 및 피해지점 파악 등에 용이하여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며, 건축물의 수리 등에도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 


  - 이슬람 의회에서도 중요한 건물에 대한 정보 업데이트 문제를 지적하면, BIM 기술을 활용하여 최대한 신속히 업데이트 할 것을 제안

 

□ 이란, 남부에 2개 신도시 건설 계획


 ㅇ 페르시아만과 오만해 만나는 전략적 위치에 조성


   - 1만8천ha 면적에 1단계로 10만명 규모 수용 예정


□ 이란 국토의 62% 가뭄 직면, 50년 만에 강수량 50mm 감소


 ㅇ 이란 의회 연구센터 Bahak Negahdari 소장은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회의(7회, 1.29~1.30일)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환경친화적인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강조


   * 지난 50년 동안 평균 기온이 10년마다 4℃씩 증가했으며, 강수량은 1970년대 250mm에서 2020년대 200mm로 감소


  ** 농사연도(전년 9월~당해 연도 9월) 기준 지난 3년 강수량(22.9~23.9월 : 188.8mm, 21.9~22.9월 : 180.4mm, 20.9~21.9월 : 143.4mm)은 장기 강수량(235mm  내외)에 비해 20~40% 감소하였으며, 가뭄이 극심했던 20.9~21.9월의 경우 국토의 61.7%가 가뭄을 겪음. 


  - 기후변화가 식량안보, 생태계, 에너지 안전, 보건 등 중요한 영역에 영향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강조하고, 지속가능하며 친환경 개발을 역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