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쿠웨이트] 경제동향('24.01.22.-29.)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4-01-31
조회수
77

(정보제공 : 주쿠웨이트대사관)


쿠웨이트 경제동향(1.22.-29.)


1. 경제동향


가. KAPP, Dibdabah 및 Shagaya 프로젝트 입찰참가자격 신청 요청(1.21)


ㅇ 쿠웨이트 민자사업청(KAPP)는 1.21일) 국내외 기업에 Dibdabah 전력발전소 프로젝트 및 Shagaya 재생에너지프로젝트 3기에 대한 입찰참가자격 신청서 제출을 요청하였다는 언론 보도.


 - 동 프로젝트는 30년간 수전력재생에너지부와 전력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을 통하여 플랜트에서 전력망으로  제공할 예정이며, 1차 프로젝트(Zone 1)은 쿠웨이트 서부 Jahra주(州) Shagaya 지역으로 순수용량 1,100MW 규모 신재생에너지생산플랜트가 건설될 예정임.


ㅇ 당국은 수전력재생에너지부와 민관협력사업(PPP)을 통해 신재생에너지분야 민간부문의 전문 지식을 유치하고 부처의 재정 및 운영 부담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함. 또한, 연료 의존도 및 발전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재생가능에너지 비율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함.


나. 쿠웨이트-오만, Duqm 정유공장 2월 가동 예정(1.22)


ㅇ 쿠웨이트 국영 국제석유회사(KPI)와 오만국영 석유공사(Oman Oil Company)의 합작 회사인 DPRIC(Duqm Refinery & Petrochemical Industries Company LCC)가 발주한 Duqm 정유시설이 오는 2월 가동을 시작할 것이라는 언론 보도.


 ※ Duqm 정유공장은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56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일일 23만배럴규모의 생산이 가능함.


 - 1월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최종 마무리 작업 및 프로젝트 안전을 위해 일정을 연기 한 바 있음.


ㅇ 쿠웨이트-오만의 합작 대형 프로젝트는 98억불이 소요되었으며, 동 프로젝트를 통해 투자 수익은 최소 8% 이상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다. 민간항공청, 쿠웨이트 국제공항 취항 항공사 확대 예정(1.23)


ㅇ 쿠웨이트 민간항공청은 쿠웨이트 국제공항의 취항할 신규 항공사 3곳과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발표함


 - 현재 쿠웨이트 국제공항에는 46개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으며, 여름까지 48개 항공사가 운항을 목표로 신규 취항 항공사 확대를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함.


ㅇ DGCA는 쿠웨이트 국제공항 이용 승객수가 2023년 1,550만명으로 집계하였으며, 쿠웨이트 국제공항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함.


 - 또한, 연간 항공편 수가 시즌별로 약 45,000회로 집계되며, 최다 선호 취항지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아부다비, 터키 이스탄불, 카타르 도하, 이집트 카이로, 소하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젯다, 요르단 암만인 것으로 나타남.


라. 쿠웨이트, 2023년 중국 최다 원유공급국 9위(1.23)


ㅇ 중국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쿠웨이트는 9번째 최다 원유 수출국으로 2023년 총 출하량은 2,453만톤으로 전년 대비 26.29% 감소함.  


 - 러시아는 2023년 1억 702만톤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하였으며, 점유율 19%를 차지함으로서 2018년 이후 최다 석유 공급국으로 자리매김함. 반면, 사우디아라비아는 8,596만톤을 수출하였는데, 전년 대비 약 2% 감소함.


 ※ △러시아 1억 702만톤(+24.1%), △사우디아라비아 8,595만톤(-1.75%) △이라크 5,926만톤(+6.8%), △말레이시아 5,479만톤(+53.72%), △아랍에미리트 4,181만톤(-2.22%), △오만 3,941만톤(-0.56%), △브라질 3,774만톤(+51.4%), △앙골라 3,002만톤(-0.2%), 쿠웨이트 2,453만톤(-26.29%), △미국 1,428만톤(+81.06%)


ㅇ 2023년 중국의 원유 수입은 5억 6,399만톤으로 하루 1,128만배럴에 해당하는 기록적인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부과된 서방의 제재로 러시아 유가 하락으로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확대함.


 - 이와 관련, 2023년 중국의 총 수입량이 전년 대비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2023년 총 원유 수입 금액은 2022년 3,655억불 대비 7.7% 감소한 3,375억불을 기록함.


마. KPC 발표 쿠웨이트 유가동향


ㅇ 1.22(월) 79.83불/배럴 → 1.23(화) 81.99불/배럴 → 1.24(수) 81.68불/배럴 → 1.25(목) 82.42불/배럴 → 1.26(금) 83.71불/배럴.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