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 제네바와 국제기구(스위스 정부 자료)

  • 제네바는 국제연합의 전신인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이 소재했던 곳으로서, 지금도 37개의 국제기구와 250여개의 국제 NGO들이 소재하고 있는 국제기구와 다자외교의 중심지이며, 이들 기구에 일하고 있는 직원은 21,500여명(스위스 전체에는 22,500명)
    • WTO(통상), WHO(보건), WMO(기상), UNHCR(난민), OHCHR(인권), ILO(노동), IOM(이주), ITU(통신) 등 분야별 전문기구 뿐만 아니라, 유엔 제네바 사무소(UNOG) 소재
  • 이들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위해 178개국이 제네바에 상주 대표부를 두고 있으며, 총 258개의 대표부에 약 4000여명의 외교관들이 근무하고 있는 외교의 도시
    • 다수 국가들이 WTO 대표부, UN 대표부 및 CD(군축회의) 대표부를 각각 별도 운영중
  • 이들 국제기구에서는 매년 3,300여회의 국제회의가 개최되고 있으며, 매년 약221,000여명의 각국 대표들이 회의에 참가중

2. 제네바와 유엔

  • 제네바에는 유엔 제네바사무소(UNOG)가 소재, 제네바 소재 UN 관련 기관, 기구들과 관련 회의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타 유엔 시스템에 속해 있는 유엔기금/프로그램, 분야별 전문기구 및 기타 기관들이 다수 소재
    • UN 보조기관(subsidiary organs) : 총회 보조기관으로 인권이사회(Human Rights Council)와 군축회의(Committee of Disarmaent)가 제네바에서 회의를 개최하고 있으며, 유엔 사무국 인권업무 부서인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소재하고 있으며, ECOSOC 소속 기관으로서 유럽경제위원회(UNECE) 사무국, UNAIDS 소재
    • 유엔 기금/프로그램(Funds and Programs) : 유엔의 정규예산이 아닌 회원국으로부터 별도의 기여금을 통해 운영되고 있는 UNHCR(유엔난민최고대표), UNCTAD(유엔무역개발위원회) 소재
    • 분야별 전문기구(specialized agency) : 유엔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나 유엔과의 약정을 통해 협력하고 있는 ILO(국제노동기구), ITU(국제전기통신연맹), IOM(국제이민기구), WHO(세계보건기구), WIPO(세계지적재산권기구), WMO(세계기상기구) 소재
    • 관련기구(related organizations) : 기타 약정을 통해 유엔과 관계를 맺고 있는 독립적인 기구로서 WTO(세계무역기구) 소재
    • 기타 유엔기관: UNIDIR(유엔군축연구소), UNITAR(유엔교육훈련기구), UNRISD(유엔지속발전연구소) 및 UNISDR(유엔재난경감기구)

3. 제네바와 우리나라와의 관계

가. 역사적인 관계

  • 제네바는 해방 이전 우리 애국지사의 활동지로서, 해방 후에는 뉴욕과 함께 다자외교의 최전선이자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남북간 외교경쟁과 협상의 장소로 중요한 역할 수행
  • 1933.2 이승만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표로서 국제연합(UN)의 전신인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 특별총회 계기 일본의 한국병합 부당성과 독립의 당위성을 주장하기 위해 제네바를 방문, 한국 국민을 대표하여 국제연맹 총회 앞 서면 발언문을 공식 제출하는 등 활발한 활동 전개
    • 당시 국제연맹은 일본의 1931.9 만주 침략 문제에 관한 리튼위원회의 보고서를 논의하기 위해 특별총회를 개최하였으며, 일본은 동 보고서가 일본의 만주침략을 규탄하는 내용에 반발 1933.3월 국제연맹을 탈퇴
  • 한국전쟁 직후 1953.7 체결된 정전협정(제60조)에서 한국문제의 평화적 해결 보장을 위한 고위급 정치회담 개최 합의에 따라, 1954.4.26부터 6.15까지 7주간 참전국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네바 정치회담(Geneva Political Conference) 개최
    • 우리나라는 변영태 외교장관이 참석
  • 1990년대에는 북핵 문제해결을 위한 협상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관련 4자회담 등 한반도 관련 활발한 외교가 제네바에서 전개
    •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미.북간 협상 결과 1994.10월 미북간 제네바 합의(Geneva Agreed Framework) 성사
    • 1997.12월부터 1999년 8월까지 남.북한과 미국, 중국간 4자회담 개최 한반도 긴장 완화와 항국적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방안 논의

나. 주제네바대표부 현황

  • 주제네바 대표부는 1959.7.22 개설되어, 초대 주제네바 대표 김용식 대사 이후 26명의 공관장이 재임하였으며, 2022.12월 현 윤성덕 대사 부임
  • 외교부 등 정부부처 파견 공무원 30여명이 통상, 경제, 군축, 인권, 인도적 지원, 보건, 노동 등 다양한 분야의 제네바 소재 국제기구 관련 업무 수행중

다. 우리국민의 제네바 국제기구 진출 현황

  • 2021년 기준 제네바에는 WTO, WHO, WMO, WIPO, UNHCR, ILO, ITU 등 국제기구에 약 110여명(정부기관 파견 직원 포함)의 한국인 직원들이 진출, 근무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