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국제기구

1. ‌유엔제네바사무소 UNOGUnited Nations Office in Geneva

  • 1946년 설립된 유엔제네바 사무소는 유엔의 4개 사무소(뉴욕, 제네바, 비엔나, 나이로비) 중 뉴욕 다음으로 큰 규모
    • 국제연합의 전신인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은 1919년 제네바를 본부 소재지로 결정하고, 1929~1936간 본부 건물인 Palais를 건축하였으며, 국제연맹은 1946년 국제연합으로 대체됨으로써 이 건물도 국제연합 사무소로 변모
  • 뉴욕 본부가 정치와 관련된 업무를 주로 다루고 있는 반면, 제네바 사무소에서는 인권이나 인류평화 관련 업무를 많이 다루고 있으며, 현 유엔제네바 사무소장은 러시아 출신의 Tatiana VALOVAYA

Website http://www.unog.ch 주소 UNOG, Palais des Nations, 1211 Genève 10 전화 ☎ (022) 917 1234

2. ‌세계무역기구 WTOWorld Trade Organization

  • 마라케쉬 협정에 따라 1995.1.1 설립되었으며, 범세계적 무역문제 협의 기구로서 각 이사회 및 산하 위원회를 통해 연중 무역 관련 문제를 협의하고 무역자유화를 위한 협상을 진행
  • 각료회의는 WTO 최고의결기구로서, 마라케쉬 협정에 따라 최소 2년에 한 번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일반이사회는 평소에 각료회의 기능을 대신 수행하고 있음. 또한, 일반이사회에 준하는 위치에 무역분쟁해결을 위한 분쟁해결기구와 각 회원국의 무역정책과 제도를 검토하기 위한 무역정책검토기구로 구성
  • 주요 정례협의체로는 상품무역이사회, 서비스무역이사회, TRIPS이사회, 무역과환경위원회, 무역과개발위원회, BOP위원회, 지역무역협정위원회, 예산행정위원회, 무역과기술이전작업반, 무역·부채·금융작업반 등이 있으며, 무역자유화협상을 위한 무역협상위원회 등 별도의 협상회의체로 구성
  • 주요 기능으로는 △(행정) WTO 협정 이행 및 개선, 각국 무역정책검토, △(입법) 무역자유화 협상 및 규범 개선, △(사법) 분쟁해결절차 운영 등 3대 핵심기능 수행
  • 현재 164개 회원국을 두고 있으며, 84개국 출신의 약 600여명 직원이 근무 중(2020년말 기준, 정규직 624명, 한국인 직원수는 총 4명), 현 사무총장은 나이지리아 출신의 Ngozi OKONJO-IWEALA(2025년 8월 임기, 1회 연임가능)
  • WTO의 약 2억 스위스 프랑(2021년 기준 1억 9,720만 스위스 프랑) 수준으로써 2011년 이래 완전 동결 중이며, 우리나라는 총 예산의 약 2.9%의 분담금 5,577,615 CHF을 기여(8위 분담국)
    • WTO 각국 분담율은 최근 5년간의 국제무역(수출/입)에서의 비중으로 계산

Website http://www.wto.org 주소 Centre William Rappard, rue de Lausanne 154, 1211 Genève 21 전화 ☎ (022) 739 5111

3.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OHCHR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 유엔인권최고대표는 유엔 인권업무 및 활동을 총괄하는 최고직책으로 1993년 비엔나 세계인권회의의 권고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유엔인권최고대표 사무소는 이러한 인권최고대표 업무 지원 및 인권이사회의 사무국 역할 수행
  • (임무) △국가의 인권 의무 이행 지원, △인권이사회 사무국 역할, △국제인권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인권 교육 및 인식제고 활동, △지역별 현장 사무소를 통한 인권 관련 기술 지원 등 임무를 수행
  • (조직) △주제별 관여 및 특별절차 분과, △인권이사회 및 조약 분과, △현장 활동 및 기술협력 분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92개의 현장 사무소(field presence) 운영
  • 현재 인권최고대표는 Volker Türk(2022.10월 임기 개시)이며, 임기는 4년으로 1회 재임 가능

Website http://www.ohchr.org 주소 OHCHR, Palais Wilson, 52 rue des Pâquis, 1201 Genève 전화 ☎ (022) 917 9000

4. ‌유엔난민기구 UNHCR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발생한 약 120만 명의 유럽 난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49.12월 유엔총회 결의를 통해 유엔총회 보조기구로서 UNHCR을 설치하고, 1951.1.1부터 활동 개시
    • 이후 1950년 12월 유엔총회 결의 부속서를 통해 UNHCR의 임무에 대한 규정(Statute)채택
    • 출범 당시 3년 임기의 한시적으로 조직되어, 1953~2003년까지는 매 5년마다 유엔총회 결의를 통해 임기를 연장, 2003년에는 “난민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계속 업무를 수행토록” 승인
  • 비정치적, 인도적 차원에서 난민들에게 국제 보호를 제공하고, 이들을 위한 영구적 해결책을 모색(UNHCR 규정)을 목적으로, 당초 난민의 보호·지원·해결책 도모 등이 주요 임무였으나, 최근에는 난민 외에 국내피난민(IDP), 이주와 강제피난의 혼한 유입(mixed flow) 등에 대한 지원과 보호로 임무를 확대
  • 유엔난민기구는 현재 107개의 회원국을 두고 있으며(우리나라는 2000년 ECOSOC 조직회의를 통해 가입을 결정), 총 17,878명(2020년)의 직원이 제네바 소재 1개 본부 및 7개의 지역국(총 132개국에 520개 이상의 거점) 사무소에서 근무 중(한국인 직원은 총 16명)
  • 유엔 정규예산(회원국 분담금)을 일부 배분 받으나, 수입의 대부분은 회원국/국제기구/민간으로부터의 자발적 기여금에 의존, 우리나라는 정부 기여 28백만 불로 정부기여 중 16위를 기록(UNHCR ‘2천만 불 클럽’ 비공식 그룹에 가입)
  • 난민최고대표는 유엔 사무총장이 지명, 총회에서 선출됨(임기 5년, 연임 가능).
    • 현재 이탈리아 출신 Filippo Grandi 사무총장은 2016년 5월에 임명되었으며, 20.12월 2.5년의 연임이 결정되어 23.6월까지 재직
  • 1954년과 1981년 두 차례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으며, 2000년에는 전임 Sadako Ogata 난민최고대표가 서울평화상을 수상

Website http://www.unhcr.org 주소 UNHCR, 94 Rue de Montbrillant, 1202 Genève 전화 ☎ (022) 739 8111

5. 국제이주기구 IOM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 1951년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 발생한 유럽 내 이주민을 지원하기 위해 PIMME (Provisional 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the Movement of Migrants from Europe)라는 이름으로 설립, 당시 천만 명이 넘는 유럽 내 이주민들의 이동과 재정착을 지원하는 지역적 차원의 조직이었으나 1989년 국제이주기구로 명칭을 변경
    • 2016.9월 난민 및 이주 관련 고위급 회의(뉴욕) 계기 유엔-IOM간 협정 체결에 따라 유엔 관련기관(related agency)으로 유엔 시스템에 편입
  • 이주 분야의 선도적인 정부간 기구로서 국제사회의 이주에 관한 이해 증진, 이주 관리, 이주를 통한 사회 발전, 이주자 인권보호 등이 주요 임무
    • 평시에는 각국 정부에 이주 관련 정책 및 기술자문 제공 및 이주노동자 교육, 영사지원 등에 관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새로운 문화에 적응을 돕기 위한 통합지원도 제공
  • 회원국은 총 174개국(2021.9월 현재)으로, 우리나라는 1988년에 가입하였고, 북한은 회원국이 아님. 2018.6월말 차기 사무총장 선거에서 포르투갈 출신 António Vitorino가 당선, 2018.10월부터 임기 개시(5년 임기이며, 연임 가능)
  • 국제이주기구는 2020년 기준, 전 세계 590개 사무소에서 총 직원 16,254명이 근무 중이며, 21억불 규모의 예산을 운용 중임.(한국인 직원은 총 19명)

Website http://www.iom.int 주소 IOM, 17 Route des Morillons, 1218 Grand-Saconnex 전화 ☎ (022) 717 9111

6. 유엔군축회의 CDConference on Disarmament

  • 1979년 설립된 유일한 다자 군축협상 포럼인 “유엔 군축회의”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총 65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5개국) 외 사실상 핵보유국인 인도, 파키스탄 및 이스라엘 등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음.
  • 사무총장은 유엔제네바사무소장(Ms. Tatiana Valovaya)이 겸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북한과 함께 1996.9월 가입
  • 동 회의는 군축 사안에 대한 △예비적 토의(문제점 파악, 목표 선정, 법적ㆍ안보적 측면 검토)와 △협상(군축 협정 성문화)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간 핵확산금지조약(NPT,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68년), 생물무기금지협약(BWC,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72년), 화학무기금지협약(CWC, Chemical Weapons Convention, 93년),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 96년)등 주요 군축 조약 성안
    • 연중 24주간의 회기 동안 주요 4대 의제 핵군축(Nuclear Disarmament, ND), 핵분열물질 생산금지(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 FMCT), 외기권군비경쟁방지(Prevention of Arms Race in Outer Space, PAROS), 소극적 안전보장(Negative Security Assurance, NSA) 등을 논의
    • 우리나라는 1996년에 제네바 군축회의에 가입하여 관련 논의에 참여하고 주요 이슈에 대한 우리 입장을 표명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제네바 군축회의 의장을 수임하여 제네바 군축회의 연례 보고서 및 관련 유엔총회 결의안 협의 담당

Website https://www.un.org/disarmament/conference-on-disarmament/ 주소 Office for Disarmament Affairs, Palais des Nations 1211 Genève 10 전화 ☎ (022) 917 2280

7. 국제노동기구 ILO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 인도주의적(humanitarian; 열악한 근로조건 개선), 정치적(political; 사회불안 사전방지) 및 경제적(economic; 공정무역경쟁) 동기로 사회정의에 기반한 보편적이고 항구적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 1919년 설립
    • 베르사유 강화 조약 제13편이 ILO의 설립 근거이며, 제1차 세계대전 직후 제대군인 실업자 등의 공산혁명 동조 조짐이라는 급박한 배경에서 노사정 삼자주의(tripartism)라는 UN 기구 중 유일한 독특한 거버넌스 구조 탄생
  • 현재 국제 노동기준 190개 협약(Conventions)과, 206개 권고(Recommendations)를 제정 및 준수 독려하고 있으며, 회원국의 비준협약 이행 감독을 위해 협약・권고적용 전문가 위원회(CEACR), 기준적용위원회(CAR) 등을 운영 중 (1919년 설립 이후 채택한 주요 선언문: 1944년 필라델피아 선언문, 1998년 노동기본권 선언문, 2019년 100주년 선언문)
  • 주요 기능으로는 △국제노동기준 수립 및 이행감독, △양질의 고용확산을 위한 회원국 지원, △연구·교육 및 출판(연구부와 국제훈련원(튜린센터)을 활용하여 고용·노동 문제 연구 및 자료발간, 교육·훈련사업 실시 등
  • 2021년 현재 총 187개 회원국을 두고 있으며, 2020.12월말 기준 3,381명의 직원(한국인 직원은 총 20명)이 본부 및 5개의 지역 사무소, 43개 국가사무소에서 근무 중. 현 사무총장은 영국 출신 Mr. Guy Ryder (2012년 10월 취임, 국제노총 사무총장 역임)
    • 우리나라는 1991년에 152번째로 가입하였고 북한은 회원국이 아님.
  • ILO의 2020-21년 기준 정규예산은 약 7.9억불이며, 우리나라는 현재 ILO 회원국 중 분담금 납부 규모가 열한 번째(2020-21년 기준)로 한-ILO 기술협력사업을 통해 매년 900만 불 규모를 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 등의 노동시장 정책 발전에 지원

Website http://www.ilo.org 주소 ILO, 4 route des Morillons 1211 Genève 22 전화 ☎ (022) 799 6111

8. 세계보건기구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 세계보건기구는 모든 사람들이 가능한 한 최고의 건강수준에 도달(the attainment by all peoples of the highest possible level of health)하여 사회적, 경제적으로 생산적인 삶을 사는 데 기여할 목적으로 1948년 유엔 산하 보건전문기구로 발족, 설립일 4월 7일은 세계 보건의 날(World Health Day)로 지정하여 기념
  • 주요기능으로는 에볼라, 메르스, 및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응의 국제적 총괄 조정,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 관리, 모자보건과 장기요양, 의약품과 식품 등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관한 기준 설정, 건강증진, 기후변화와 보건 등
  • WHO 2020-2021년 프로그램 예산(2년 단위)은 90.0억불(이 중 의무분담금은 9.56억불)이며, 우리나라는 WHO 의무분담금 2,169만불(세계 11위)과 자발적 기여금 6,827만불을 포함한 총 8,996만불(세계 8위)을 기여 (2021년 1분기 기준)
  • 현 사무총장은 에티오피아 출신의 Dr. Tedros Adhanom Ghebreyesus (임기 : 2017.7-2022.6)이며, 현재 194개 회원국을 두고, 총 8,447명의 직원(본부: 2,610명)이 전 세계 6개 지역사무소와 150개 국가사무소 근무 중(2020년 말 기준)이며 한국인 직원은 총 32명
    • 우리나라는 1949년에 회원국으로 가입하였으며, 중국, 일본 등과 함께 서태평양 지역(Western Pacific Region)에 속해 있고, 북한은 1973년에 가입하여 동남아시아 지역(South-East Asia Region)에 속함.

Website http://www.who.int 주소 WHO Avenue Appia 20 1211 Genève 27 전화 (022) 791 2111

9. 세계지적재산권기구 WIPO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 세계지식재산기구는 지식재산과 관련된 정책과 제도 등을 논의하기 위해 1967년 WIPO 설립협약 채택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후 UN 헌장에 의거하여 UN-WIPO 협정을 체결하고, 1974년, 동협정이 발효됨에 따라 유엔전문기구로 지정
    • 지식재산권은 발명 등과 같은 지적인 창조와 혁신활동을 통해 도출된 결과물을 권리로 보호함으로써 기술 및 문화 발전을 장려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로서 권리로는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저작권 등이 있음.
  • 주요 업무로는 △WIPO 설립협약, 산업재산권 관련 파리협약, 특허협력조약, 상표법 조약, 저작권 관련 베른협약 등 총 26개 국제조약 관장, △국제 지식재산 출원·등록서비스 제공, △지식재산의 활용 촉진 및 이해 증진, △정보 인프라 강화를 통해 국제 지식재산 시스템 효율화, △지재권 인식 제고 활동, △개발을 위한 지식재산 활용 촉진 등임.
  • WIPO는 유엔 기구들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예산을 직접 조달하여 자체 기금으로 운영되는 기구로, 수입의 95%가 국제출원·등록시스템 수수료로 발생하며, 그 이외의 수입은 회원국의 분담금, WIPO 중재 및 조정 서비스, 출판물 등으로 구성, 2020-21 예상 수입은 8억 8,280만 스위스 프랑(CHF), 예상 지출은 7억 6,840만 CHF으로 전망
  • 제네바 소재 본부 외에도 7개의 지역사무소를 운영 중이며, 총 1508명의 직원이 근무 중(한국인 직원은 총 25명). 현 사무총장은 싱가포르 출신의 Daren Tang으로 2020년에 취임하여 2026년까지 재직
  • 2021년 현재 193개국이 가입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1979년, 북한은 1974년에 가입

Website http://www.wipo.int 주소 34, chemin des Colombettes 1211 Genève 전화 (022) 338 9111

10. 세계기상기구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 지구 대기 및 대양, 수자원, 기후간의 상호작용 연구 등을 담당하는 유엔특별기구로, 1879년에 창립한 IMO(International Meteorological Organization)가 전신이며, 1950년 44개 회원국으로 창설, 1951년 유엔특별기구로 편입
  • 매 4년마다 개최하는 총회(최고 의사결정기구)를 비롯하여 매년 WMO 프로그램 집행 및 이행사항을 검토하는 집행이사회(4년 임기, 37명의 이사로 구성), 6개 지역협의회(아프리카, 아시아 등), 기술위원회(인프라위원회(INFCOM) 및 서비스 위원회(SERCOM)) 운영
  • 주요 업무는 △기상, 기후, 수문 및 지구물리학적 관측 수행 및 관련 데이터의 교환, 처리 및 표준화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협력 촉진, △회원국의 국가기상 및 수문서비스간의 협력 촉진, △날씨정보 서비스, 농업, 항공, 해운, 환경, 수자원 및 재해경감 분야에 대한 기상학의 적용 촉진 등
  • 2021년 현재 193개국이 가입되어 있으며, 한국은 1956년에 회원으로 가입. 현 사무총장은 핀란드 출신 Petteri Talaas이며, 사무국에 약 3백여 명의 직원이 근무 중(한국인 직원은 총 5명)
  • WMO 2020-23년 예산은 총 약 2억 7,100만 스위스프랑이며, 우리나라의 WMO 분담금은 2021년 현재 150만 스위스 프랑으로 회원국 전체 11위, 전체 분담금 대비 기여율 2.22%

Website http://www.wmo.int 주소 7bis, av.de la Paix, CP2300 1211 Genève 2 전화 ☎ (022) 730 8311

11. 국제전기통신연합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국제전기통신연합은 정보통신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전, 전세계 ICT의 확산을 주도하기 위해 설립된 UN산하 ICT 전문기구로서 1865년 5월 유럽 유선전신의 국제협력을 위해 만국전신연합으로 출발하여, 1947년 UN의 정보통신 전문기구가 된 최고(最古) 국제기구
  • ITU의 설립 목적은 △국가간 전파간섭 방지를 위한 무선 주파수 대역 할당, 궤도위성의 위치 등록 및 국제 전파규칙 관리, △개발도상국 정보통신 발전을 위한 기술지원, 통신설비·망 구축 지원, 자원조달 등 회원국 간 건설적 국제협력 증진 △ 전기통신서비스 품질 향상 및 범세계적인 전기통신표준화 촉진
  • ITU의 조직은 사무총국(General Secretariat)과 전기통신표준화국(TSB), 전파통신국(BR), 전기통신개발국(BDT) 등 3개의 부문(Bureau)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권회의가 최고 의결회의로서 4년마다 개최되며 사무총장·차장, 부문 국장을 선출하고 헌장‧협약의 개정과 주요 정책을 결정
  • ITU는 회원국의 분담금이 주 수입원으로서, 분담금 단위액은 318,000CHF(우리나라는 10단위 납부), ITU 20-21년 예산은 331,341,000CHF
  • 2021년 현재 회원국은 193개국(민간 회원 약 750개사)이며(우리나라는 1952년 가입), 6개 지역사무소(regional office) 및 7개 현지사무소(area office)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운영. 현 사무총장은 중국 출신의 Houlin Zhao으로, 2015년에 임명되었으며, 2018년도에 4년 연임이 결정되어 2022.10월까지 재임

Website http://www.itu.int 주소 ITU, Place des Nations 1211 Genève 20 전화 ☎ (022) 730 5111

12. 유엔무역개발회의 UNCTAD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 유엔무역개발회의는 1964년 ‘원조보다는 무역’이라는 구호아래 개발도상국의 산업화와 국제 무역을 지원하고, 남북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설치된 국제연합 총회의 상설기관
  • 무역과 개발 등 경제개발 이슈와 관련하여 유엔 내 구심점(focal point)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3대 활동분야로는 무역과 개발문제에 관한 국제사회의 컨센선스 형성, 연구 및 분석, 기술지원 및 능력배양
  • 최고 의결기관인 총회(각료급 회의)는 매4년마다 1회 개최되며, 무역개발이사회(TDB)와 무역개발위원회 및 투자·기업·개발 위원회의 2개 위원회를 두고 있음.
  • 195개의 회원국은 설립헌장에 따라 그룹A(아시아, 아프리카), B(선진국), C(남미), D(러시아, 동구)로 분류되어 있으며, 협상은 G77+중국, EU, 쥬스칸스*, EAEU(유라시아경제공동체)등 정치그룹 중심으로 진행 * 非EU 유사입장국 그룹(한국, 일본, 미국, 스위스, 캐나다, 호주, 노르웨이, 뉴질랜드, 터키)
    • 우리나라는 1996년 OECD 가입 이후 개도국 그룹인 G77을 탈퇴한 이래 어느 정치그룹에도 속하지 않아 입지가 매우 취약했으나, 2021.1월에 쥬스칸스에 정식 참여하여 UNCTAD내 입지 제고
    • 또한 우리나라는 2021.7월에 기존 그룹 A에서 선진국 그룹인 그룹 B로 이동한바, 이는 UNCTAD 창설 이래 선진국 그룹으로의 첫 변경사례
  • 우리나라는 1964년에 가입했으며, 사무총장은 코스타리카 출신의 Rebeca Grynspan(2021.9월 취임)

Website http://www.unctad.org 주소 UNCTAD, Palais des Nations, 8-14 av.de la Paix 1211 Genève 전화 ☎ (022) 917 1234

13. 국제무역센터 ITCInternational Trade Centre

  • 국제무역센터는 1964년 개도국 무역역량지원·강화를 위해 GATT에 의해 설립되었고, UN 및 WTO 공동 운영을 통해 개도국 및 최저개발국(LDC) 소상공인·중소기업의 해외 수출 및 무역 역량 강화 등 무역을 위한 원조(Aid for Trade) 사업기구
  • 개도국 내 여성의 무역참여 지원(SheTrades) 및 청년 창업 지원을 포함하여, △개도국 수출상품 및 시장개발, △개도국의 Business Community 형성 촉진, △무역정보 제공, △무역관련 인적자원 육성, △중간재 등 수입선 정보제공 등의 업무 수행
  • 합동자문그룹(Joint Advisory Group) 연례회의(WTO 일반이사회, UNCTAD 무역개발이사회 및 회원국 참여하에 당해 연도 사업결과 및 차기년도 사업계획에 대해 보고하고, 정책적 권고를 청취) 및 ITC 신탁기금협의회(Consultation Committee on ITC Trust Fund)(공여국 협의체 및 공여국 자금이용 실태 감독·점검)가 가장 중요한 협의체
  • 우리나라는 1964년 설립당시 가입했으며, 사무국장(Executive Director)는 자메이카 출신의 Pamela Coke-Hamilton이며, 약 350명의 직원이 근무 중
    • 유엔 및 WTO가 균등하게 지원하는 정규예산과 ITC 신탁기금에 대한 자발적 기여금으로 운영

Website http://www.intracen.org 주소 ITC, 54-56 rue de Montbrillant 1202 Genève 전화 ☎ (022) 730 0111

14. 국제적십자위원회 ICRC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 1863년 스위스 출신 실업가 앙리 뒤낭에 의해 설립된 ICRC는 스위스 NGO로부터 시작한 비정부간 기구였으나, 이후 국제인도법(1949, Geneva Convention)의 이행을 담당하는 기구로 인정됨.
    • 국제무력충돌에 관한 4개의 제네바 협약(1949) 및 국제무력충돌에 관한 제Ⅰ추가의정서에 의거, 무력충돌 희생자에 대한 보호(protection), 지원(assistance) 및 예방(prevention) 활동 수행
    • 무력충돌시 인도주의 활동에 중점을 두고 무력충돌의 희생자들이 국제인도법에 맞는 처우를 받을 수 있도록 보호하고,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며, 국제인도법이 실질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각국 정부와 협력
  • ICRC 단독 거버넌스는 △총회(Assembly, 15~25인의 스위스 국적 위원으로 구성) △총회 위원회(Assembly Council, 총회의 하부조직으로 총회 위원 중 7인으로 구성) △총재실(총재, 부총재로 구성) △국장단(Directorate, ICRC의 집행조직으로 사무총장 Director-General 산하에 주요 국장 5명으로 구성) △감사실 △데이터보호 위원회 등으로 구성
  • 국제적십자위원회는 2020년 기준,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총 직원 18,800명이 근무 중이며, 총 19억 스위스프랑 규모의 예산을 운용 중(한국인 직원은 총 10명)
  • 국제적십자운동의 최고 회의로서 4년마다 국제적십자 회의가 개최되며, 제네바협약 당사국 정부대표, 각국 적십자사 대표,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국제적십자사적신월사연맹(IFRC)등이 참석함. ICRC의 현 총재는 Peter Maurer(前 스위스 외교차관)이며, 2012.7월 취임 이후, 3번째 연임 중(2019.11월 총회에서 3번째 4년 임기 결정)

Website http://www.icrc.org 주소 ICRC, av. de la Paix 1202 Genève 전화 ☎ (022) 734 6001

15. 국제적십자사적신월사연맹 IFRCInternational Federation of Red Cross and Red Crescent Societies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적십자사 총재 헨리 데이비슨(Henry Davison)에 의해 파리에서 1919년 설립, 1939년 제네바로 이전한 전 세계 5개 지역(아프리카, 미주, 유럽, 아태, 중동 및 북아프리카) 192개 각국 적십자사 및 적신월사로 구성된 연맹체
  • IFRC 헌장(Constitution)*에 따라 평시 인도지원 활동에 중점을 두고 긴급재해 이재민 등에 대한 구호 활동을 수행하며, 이를 수행하는 각국 적십자사․적신월사(RCS)의 역량 강화 지원 * 적십자운동(Red Cross Movement)의 7개 기본원칙 : △인도성(Humanity) △중립성(Neutrality) △비정파성(Impartiality) △독립성(Independence) △자발성(Voluntary Service) △통합성(Unity) △보편성(Universality)
    • 제네바 본부는 전체 RCS의 전반적인 정책 및 조정업무를 담당하며, 실제 사업 및 구호활동은 IFRC의 지역/국별사무소에 위임하여 현지 RCS와의 협력을 통해 진행
  • 국제적십자사적신월사연맹은 2020년 기준, 전 세계 50여개 사무소에서 총 직원 2,577명이 근무 중이며, 약 15억 스위스프랑 규모의 예산을 192개 적십자사와 협력하여 운용 중임.
  • 국제적십자위원회(ICRC)가 주로 무력충돌 시 인도주의 활동에 중점을 두는 한편 국제적십자사적신월사연맹(IFRC)는 긴급재해 이재민 등에 대한 구호활동을 주로 수행
  • 현 사무총장(Secretary General)은 네팔 출신 Jagan Chapagain이며 총재(President)는 이탈리아 출신 Francesco Della Rocca

Website http://www.ifrc.org 주소 IFRC, Chem. des Crêts 17, 1209 Genève 전화 ☎ (022) 730 4222

16. 유엔 재난위험경감사무소 UNISDR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 1999년 재난경감을 위한 국제전략(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 ISDR)의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유엔총회 결의에 따라 유엔 시스템 내 재난경감 관련기구간 협력 및 국제 재난경감 활동 조정역할 수행
    • 2015.3월 센다이 프레임워크 채택 이후 향후 15년간 전 세계 재난위험경감 체제를 규율할 센다이 체제 이행을 담당 / SDGs, 파리협정, 센다이 프레임워크 등 재난위험경감 관련 분야 간 일관성 강화에 노력
  • 유엔 재난위험경감사무소는 유엔 사무국에 소속된 조직으로 전 세계 12개 사무소(인천 포함)를 두고 있으며, 예산 규모는 47백만 불
  • 2018.3월부터 일본 출신 Mami Mizutori 재난위험경감 담당 사무차장보 겸 특별대표(UN Special Representative of the Secretary-General for Disaster Risk Reduction)가 UNDRR을 이끌고 있음.

Website http://www.unisdr.org 주소 UNISDR, 9-11 Rue de Varembe CH1202 Geneva 전화 ☎ (022) 917 8907

17. 국제의회연맹 IPUInternational Parliamentarian Union

  • 1889년 설립된 전 세계 의회 간 연맹체로 정치적 대화와 구체적 행동을 통한 평화 구현을 목표로 함. 현재 178개국 의회 및 12개 준회원 기구가 가입하였으며, 우리나라(1964년 가입)와 함께 북한도 가입하였음. 현 사무총장(Secretary General)은 카메룬 출신의 Martin Chungong(‘14.7.1 취임, 최초의 비서방 출신 사무총장)
  • 총회(Inter-parliamentary Assembly)는 IPU 최고기관이며, 총회 산하에 3개 상임위원회(평화/안보, 개발/재정/무역, 민주주의/인권)가 활동 중이며, 집행위원회가 IPU의 운영기관 역할 수행 또한 각국 대표단으로 구성되고 매년 2회 개최됨.
    • 상반기에는 3-4월에 각 지역 순회, 하반기에는 2002년 이후 관행적으로 9-10월에 제네바에서 개최

Website http://www.ipu.org 주소 IPU, 5 chemin du Pommier, CP330, 1218 Grand-Saconnex, Genève 전화 ☎ (022) 919 4150

여타 국제기구

1. 유엔기구

  • 유럽경제위원회(UNECE)
    • UN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1947
    • Website : https://unece.org/
    • 주소 : UNECE, Palais des Nations, 1211 Genève 10
    • ☎ (022) 917 1234
  • 유엔배상위원회(UNCC)
    • United Nations Commensation Commission, 1991
    • Website : http://uncc.ch/home
    • 주소 : UNCC, Palais des Nations 8-12 ave. de la Paix 1211 Genève 10
    • ☎ (022) 917 3600
  • 유엔군축연구소(UNIDIR)
    • United Nations Institute for Disarmament Research, 1980
    • Website : http://www.unidir.org
    • 주소 : UNIDIR, Palais des Nations, 1211 Genève 10
    • ☎ (022) 917 1141
  • 유엔환경계획(UNEP) 유럽사무소
    •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Europe Office
    • Website : http://www.unep.org/regions/europe
    • 주소 : UNEP, chem. des Anémones 11, 1219 Vernier, Genève
    • ☎ (022) 917 8237
  • 기후변화 정부간 패널(IPCC)
    • Intergove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 Website : http://www.ipcc.ch
    • 주소 : 7bis av. de la Paix CP 2300, 1211 Genève 2
    • ☎ (022) 730 8208
  • 유엔훈련조사연구소(UNITAR)
    • United Nations Institute for Training and Research, 1965
    • Website : http://www.unitar.org/
    • 주소 : UNITAR, Palais des Nations 1211 Genève 10
    • ☎ (022) 917 8400

2. 기타 유엔전문기구

  • 국제교육국(IBE)
    •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1929
    • Website : http://www.ibe.unesco.org/
    • 주소 : IBE, route des Morillons 15 1218 Le Grand-Saconnex
    • ☎ (022) 917 7800

3. 기타 정부간 기구

  •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 European Organisation for Nuclear Research, 1954
    • Website : http://www.cern.ch
    • 주소 : CERN CH-1211 Genève 23
    • ☎ (022) 767 8484
  • 지구관측그룹(GEO)
  • 람사르협약(Ramsar Convention on Wetlands)
  • 바젤협약/로테르담협약/스톡홀름협약 공동 사무국
    • Secretariat of the Basel, Rotterdam and Stockholm Convention
    • Website : http://www.brsmeas.org/
    • 주소 : 11-13 ch. chemin des Anémones, 1219 Châtelaine, Genève
    • ☎ (022) 917 8271
  • 멸종위기 동식물보호협약(CITES) 사무국
    •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 Website : https://cites.org/
    • 주소 : 11 ch. chemin des Anémones, 1219 Châtelaine, Genève
    • ☎ (022) 917 8139

4. 비정부기구

  • 세계교회협의회(WCC)
    • World Council of Churches, 1970
    • Website : https://www.oikoumene.org/
    • 주소 : WCC, 1 route des Morillons, 1218rhkr Le Grand-Saconnex Genève
  • 세계경제포럼(WEF)
    • World Economic Forum, 1971
    • Website : https://www.weforum.org/
    • 주소 : WEF, 91-93 route de la Capite, 1223 Cologny Genève
    • ☎ (022) 869 1212
  • 국제표준기구(ISO)
    •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1947
    • Website : https://www.iso.org/
    • 주소 : chem. de Blandonnet 8 CP401 1214 Vernier Genève
    • ☎ (022) 749 0111
  • 국제사회보장협회(ISSA)
    • 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 1895
    • Website : https://www.ica.coop/
    • 주소 : 15, route de Morillons 1218 Grnad-Saconnex, Genève
    • ☎ (022) 929 8888